경제·금융

대출금 상환방법

최근 모든 금융기관이 가계대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여러 상품의 금리 비교도 중요하지만 자신의 자금스케줄에 맞는 대출금의 상환방법을 선택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은행에서 시판하고 있는 담보 설정액 면제, 대출금리인하 상품은 대부분 3년 이상의 장기대출이고 매월 혹은 3개월, 6개월 변동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신규대출고객 및 대출전환고객은 자신의 자금계획 및 향후 금리예측에 따라 상품을 선정해야 한다. 대출을 중도 상환하는 경우 위의 대출상품은 1% 정도의 중도상환수수료를 물어야 하기 때문이다. 1% 수수료를 내는 것은 연간 대출금리가 1%포인트 높은 상품을 선택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금리가 상승 추세일 경우 대출금리가 올라가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출상품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대출상품을 고를 때 상환 방법도 잘 선택해야 한다. 대출금 상환방법은 일반적으로 매월 이자를 내고 만기에 원금을 일시 상환하는 방법과 원금과 이자를 합하여 매월 균등하게 상환하는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방식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기간 및 대출금리가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두 가지 상환방식을 비교해보면. 대출금액 5,000만원, 대출기간 5년, 금리(5년간 변동 없다고 가정) 8%인 상황에서 만기일시 상환방식의 경우 5년간 이자 2,000만원(매년 400만원의 이자납입)과 원금 5,000만원을 합쳐 5년간 7,000만원의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방식의 경우 매월 원리금 101만3,820원을 5년간 납입하면 된다. 총 납입하게 되는 금액은 이자 1,082만9,200원과 원금 5,000만원을 포함해서 6,082만9,200원이다. 위의 비교방법은 단순비교방법이지만 매월 원금을 일정하게 상환할 수 있는 여력이 있는 사람이면 이자만 내는 만기일시상환보다는 원리금균등분할상환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약 9백만원의 이자를 절약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다만 만기일시상환방식 선택 후 매월 상환할 수 있는 금액을 적금에 가입한다면 총비용은 비슷할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적금을 납입하는 것이 힘들고 예금이자에 대해 소득세를 내야 하는 점을 감안하면 매월 상환여력이 있는 경우 원리금균등상환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