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수시로 대학가기] 기출문제 등 토대 맞춤 대비를

논술·전공적성검사 등 대학별 고사 영향력 확대

대학 수시모집에서 논술이나 전공적성검사 등 대학별 고사의 영향력이 갈수록 확대되는 추세다.

주요 대학의 경우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일반 전형에서 대부분 논술고사를 실시한다. 특히 모집 인원의 30~70%를 선발하는 우선선발의 경우 논술 반영 비율이 80%에서 100%에 이르는 만큼 수시모집에서 논술고사의 영향력은 매우 크다.

2011학년도 수시모집의 경우 논술고사의 비중이 더욱 커졌다. 연세대와 한양대는 일반선발에 비해 논술고사의 비중이 큰 우선선발의 모집 비율을 10%씩 늘렸으며, 성균관대와 중앙대도 수시2차 일반전형 일반선발, 논술우수자 전형의 논술 반영 비율을 60%에서 70%로 각각 늘렸다.


논술고사는 대학별로 모집 계열에 따라 출제 경향이 다르기 때문에 목표 대학의 기출문제를 토대로 맞춤준비가 필요하다. 수능시험 이후에 논술고사를 실시하는 대학에 지원할 경우에는 수능 성적 결과에 따라 논술고사 응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좋다. 서강대, 경희대, 한국외대 등 일부 대학의 수시 1차 모집을 제외하고 대부분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므로 세부 기준을 확인해둬야 한다.

관련기사



전공적성검사를 실시하는 대학도 늘고 있다. 지난해 12개 대학이 실시했지만 올해는 강원대, 세종대, 수원대, 을지대, 한국산업기술대 등 5곳이 추가로 전공적성검사를 도입해 총 17개 대학에서 실시된다.

전공적성검사는 학생부나 논술 중심 전형에 부담을 느끼는 중위권 수험생들에게 상당히 매력적인 전형 방법이다. 시험을 잘 치르면 내신 1~2등급 정도는 극복할 수 있다.

전공적성검사는 논술이나 구술·면접고사에 비해 실시 대학이 많지는 않지만 반영 비율은 상당히 높다. 가톨릭대가 수시 2차 모집 일반 전형에서 100%를, 경성대는 수시 1차 모집 적성 전형에서 90%를 반영하며 강남대 수시 2차 모집 일반 전형과 고려대(세종) 수시 2차 모집 일반 전형, 그리고 광운대 수시 1차 모집 적성 우수자 전형에서 80%를 반영한다.

전공적성검사는 대학마다 다양한 유형으로 출제되고 문항 수는 120∼200개 안팎이다. 60∼80분 정도의 시간 안에 모두 풀어야 하기 때문에 지식이나 계산력 등도 중요하지만 빠른 시간 안에 문제를 파악해 정답을 찾아낼 수 있는 순간 판단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이나 타 대학의 기출문제를 바탕으로 실수하지 않고 문항에 익숙해지도록 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정시모집에서 전공적성검사를 통해 선발하는 대학이 없기 때문에 전공적성검사에만 올인하는 것은 위험 부담이 클 수 있다. 전공적성검사 준비와 수능 대비의 우선순위를 정해 적절히 학습 시간을 배분하는 등 정시 모집까지 고려한 전략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