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인천시-정부 '주경기장 신설' 1년5개월 줄다리기

2014 아시안게임 준비 차질 우려<br>인천 "OCA 기준 7만석 경기장 필요"<br>정부 "예산 고려 문학경기장 증·개축을"


인천시가 2014년 아시안게임을 유치해 놓고 개ㆍ폐회식 등을 치를 주경기장 건립 계획조차 확정하지 못한 채 1년 5개월간 허송세월만 보내고 있다. 인천시와 정부가 서로 입장차를 보이며 줄다리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는 11월까지 정부의 최종 승인과 아시아올림픽협의회(OCA)와의 협의를 마치지 못하면 경기장 건설 기간 부족 등으로 대회 준비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인천시는 서구 연희동 일대 58만6,000㎡ 그린벨트에 3,000억원이 투입될 7만석 규모의 주 경기장을 짓고 사후 관리방안 차원에서 대형마트와 컨벤션센터, 공연장, 전시장 등 수익시설 설치 계획을 허용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해 놓고있다. 7만석 규모의 경기장 신설계획은 OCA의 권고 기준안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인천만의 욕심’ 이라며 OCA의 7만명 기준은 어디까지나 권장사항이지 강제규정은 아님 만큼 2002년 월드컵 때 건설한 5만명을 수용하는 문학경기장을 사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굳이 OCA가 7만명 규모를 지킬 것을 요구한다면 문학경기장을 증ㆍ개축하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문학월드컵 경기장을 리모델링 하면 충분히 경기를 치를 수 있다”면서 “경기장을 새로 짓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 효율성과 예산문제도 고려돼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시는 이에 대해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때에도 5만5,000석 규모의 주경기장을 OCA의 요구에 따라 개ㆍ폐회식때 8만석 규모로 변경한 사실을 들어 문학경기장을 증ㆍ개축 하기에는 장소가 너무 협소하다며 반박하고 있다. 또 주경기장을 신설 상암 월드컵경기장을 모델로 수익시설을 배치하면 매년 최저 61억원에서 최대 125억원 까지 순 이익을 낼 수 있다며 정부를 설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지난 4월 문체부에 사업계획을 신청했지만 그동안 관계 부처의 현장조사와 협의 과정을 거치면서 신설 경기장 수와 주경기장 건설계획 등이 상당 부분 변경됨에 따라 최근 사업계획을 변경해 다시 제출했으나 정부의 입장은 부정적이라고 밝혔다. 시는 이번에 제출한 사업계획서에서는 주 경기장을 신설할 경우 관람석 배치를 고정석 5만석, 가변석 2만석에서 고정석 3만석, 가변석 4만석으로 변경하고 신설 경기장 수도 21개에서 15개로 줄여 건립비용을 3,532억원에서 2,388억원으로 축소했다. 한편 인천시 관계자는 “오는 10월까지 관계 부처 협의와 국제경기대회지원위원회 심의를 마치고 11월까지 문화부의 사업계획 승인과 OCA와의 협의를 끝낼 계획”이라면서 “아시안 게임을 반납하지 않는 한 OCA의 요구사항을 안 들어 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