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삼성 임원인사 특징, 수익위주 경영안정 포석

삼성 임원인사의 특징은 사장단 대부분을 유임, 안정적인 경영기조를 유지하는 것과 함께 사상최대였던 작년만은 못하지만 비교적 큰 폭의 승진을 단행했다는 점이다.이는 지난해 어려웠던 경제여건에서도 비교적 선전한 계열사 경영진들의 성과를 인사에 반영한 것으로 다음달부터 임원인사에 나서는 LGㆍSK등 다른 대기업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승진여부로 관심을 모았던 이건희 회장의 아들인 삼성전자 이재용 상무보는 현직을 유지했다 ◇사장단 대부분 유임 삼성은 사장단등 등기임원 인사는 오는 3월 계열사별 주총시 실시할 예정이나 이번에 대부분 유임내정 함으로써 사실상 인사를 마무리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 송용로사장이 삼성코닝 대표이사 사장으로 자리를 옮기는등 3명의 사장단 인사가 전부다. 삼성코닝 박영구사장과 삼성네트웍스 강세호사장은 각각 상담역과 경영자문으로 한발 물러나게 됐다. 삼성의 사장단 인사가 소폭에 그친 것은 재작년 21명에 이어 지난해에도 14명이나 승진하는 등 그동안 큰 폭의 인사로 경영진 교체가 이뤄진데다 올해는 수익성 위주의 경영체제 안정에 주력하겠다는 뜻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총까지 사장단 인사가 미뤄질 경우 우려되는 연초 경영혼선을 막는다는 차원에서 대부분 사장단의 유임방침을 미리 밝힘으로써 계열사별로 새해 경영체제를 조기에 정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분석된다. ◇계열사별 실적반영 승진 이번 인사에서 실적이 전년에 못 미치는 삼성전자등 대부분 계열사의 임원 승진자 수는 줄었지만 실적이 개선된 계열사는 늘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의 148명보다는 줄었지만 129명의 임원 승진자를 배출, 전체 319명의 승진자중 40%를 차지했다. 삼성물산은 44명보다 줄어든 31명이 승진했고 삼성생명은 18명에서 13명, 삼성전기는 17명에서 11명, 삼성증권은 8명에서 4명으로 승진자수가 줄었다. 반면 삼성SDI는 작년의 21명에서 올해는 24명으로 승진자가 증가했고 삼성카드와 삼성캐피탈은 각각 7명의 승진자를 배출했다. 임원 승진자의 평균연령은 46.3세로 작년의 47.3세보다 1년 낮아졌고 R&D(연구ㆍ개발) 분야의 연구임원 승진자는 53명으로 작년의 47명보다 늘어났다. 또 해외에서 근무중인 임원은 61명이 승진했고 이중 중국지역의 경우 작년보다 33% 늘어난 12명이 승진해 중국시장의 중요성이 반영됐다. ◇눈길 끄는 인사 삼성은 이번에 사장단 인사에서 삼성SDS 박양규 상무를 삼성네트웍스(전 유니텔) 사장으로 전격 승진시켜 눈길을 끌었다. 종합적인 정보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의 특성을 감안해 파격적으로 상무급을 사장으로 발탁한 것. 또 삼성SDI 심임수 상무는 LCD사업팀장으로서 회사 총이익의 30%에 해당하는 영업이익을 달성하는 뛰어난 성과로 승진 1년만에 다시 전무로 고속승진했다. 이와함께 삼성전자는 영국인인 데이비스 스틸씨를 상무보에 선임, 외국인 정규임원이 처음으로 탄생했다. 조영주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