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우중공업, 전동차 추진제어장치 국산화

대우중공업이 전동차의 핵심부품인 추진제어장치의 국산화에 성공, 국내 철도차량산업의 손익구조가 획기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전동차 추진제어장치는 선로 전차선에서 1,500볼트의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바꿔 조정된 전압과 주파수를 견인전동기에 공급, 전동차의 속도를 제어한다. 대우중공업(대표 추호석·秋浩錫)은 지난 96년부터 100억원을 투입, 국내 철도차량업계에서는 처음으로 4대의 견인전동기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집중제어방식 추진제어장치를 독자기술로 개발했다고 9일 발표했다. 이 제어장치는 대용량의 전력반도체 소자(IGBT)와 32비트 디지털신호처리장치(DSP)를 적용한 가변전압 가변주파수(VVVF) 전력변환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차량의 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운전편리성과 승차감, 유지보수성을 높였으며 기존제품에 비해 중량과 부피가 작고(60% 수준) 원가를 30% 정도 절감할 수 있다. 차내 소음도 5데시벨(DB) 줄일 수 있다. 대우는 이 제어장치의 개발로 연간 600억원 규모의 수입대체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앞으로 각종 전장품의 핵심기술 수출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채수종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