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내경제전망] 12일 금리 추가인하 여부 주목

봄기운이 완연해졌지만 우리 경제는 안개 속이다. 금융시장은 여전히 얼어붙었고 환율 고공행진은 계속되고 있다. 1ㆍ4분기 경제성장률은 –5%를 넘어 –8%까지 우려되는 상황이고, 물가는 다시 4%대로 뛰고 있다. 첩첩산중의 이번 주 최대 관심사는 환율이다. 지난 6일 역외세력의 매도세로 1,550원대로 내려온 원ㆍ달러 환율은 주말 역외선물환(NDF)시장에서 40원 가량 급락한 점을 감안하면 아랫쪽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좀 더 높아 보인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이 7일 "근본적으로 환율을 안정시킬 요소가 있다"라고 강한 자신감을 보인 만큼 금융 당국이 어떤 대응책을 마련할 지 관심이 모아진다. 12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도 이목이 쏠린다. 한은은 5.25%였던 기준금리를 지난해 10월부터 불과 4개월만에 3.25%포인트나 낮추며 유동성 확보에 초점을 맞춰 왔지만 최근 물가가 불안해지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다시 수면 위로 부상한 상황이다. 시장에서는 2%인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추가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과 동결할 것이라는 예상이 맞서고 있다. 금리를 더 내렸다간 '유동성 함정'에 빠질 우려가 있고 환율 상승도 금리인하에 부담스런 요인이다. 2월 소비자물가가 4.1%로 7개월만에 상승폭이 확대된 점 역시 금리인하의 걸림돌이다. 하지만 경기하강 속도가 너무 가파른데다 최근 EU, 영국 등 주요국이 금리를 내린 터라 팔장만 끼고 있을 수도 없다. 사면초가인 셈이다. 오는 14일 영국 런던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도 눈여겨 볼 사안이다.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성태 한은 총재, 진동수 금융위원장이 참석한다. 최근 동유럽 사태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재차 불거지고 있는 상황에서 G20 회의가 과연 금융위기에 대한 글로벌 공조방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지 전세계의 눈길이 쏠린다. 한ㆍ미 키리졸브 훈련이 9일 시작하는 가운데 북한의 동향이 주목되고 미디어법을 논의할 미디어발전 국민위원회가 13일 공식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4월 재ㆍ보궐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공천심사위원회를 구성해 후보자 공모에 나선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