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미 전작권 전환 무기 연기] 면적 20~30% 줄고 조성 지연 불가피

■ 한미연합사 잔류… 용산공원 어떻게<br>국토부 "단계 추진할 것"


한미 양국이 한미연합사의 서울 용산 잔류에 합의하면서 용산공원 조성사업이 차질을 빚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현재 정부와 서울시는 미8군과 주한미군사령부, 한미연합사 등이 자리 잡고 있는 용산기지를 반환 받아 공원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07년 제정된 '용산공원조성 특별법'에 따라 243만㎡(73만5,000평)의 방대한 부지를 미국 뉴욕의 센트럴파크와 유사한 녹지공원으로 조성해 오는 2045년 완공할 계획이다.

정부는 2016년까지 현재 용산기지를 평택으로 이전하는 용산기지이전계획이 완료되면 본격적으로 공원화 사업에 나설 계획이었다.


특히 용산공원 부지는 캠프 킴, 유엔사, 수송단 터를 포함한 미군 군사시설과 일제강점기 병영 시설이 다수 남아 있어 문화적인 가치가 크다. 북악산에서 비원·남산·국립묘지를 거쳐 관악산까지 이어지는 '서울의 허파' 역할을 하고 있어 생태학적 가치 역시 높게 평가 받고 있다.

관련기사



용산공원 조성의 틀을 짜는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는 한미연합사가 존속하더라도 예상인력이 얼마 되지 않는데다 실제 착공시기까지 아직 4년 정도의 시간이 남은 만큼 용산공원 조성에는 차질을 빚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설사 착공기한을 넘어서더라도 부지가 방대한 만큼 단계별 조성을 추진할 수 있기 때문에 계획의 틀 자체는 변할 게 없다는 설명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일부 병력이 잔류를 하더라도 워낙 공원 부지가 넓은 만큼 미군 잔류지역을 제외하고 부지를 조성하다가 완벽하게 이전을 마친 후에 전체를 개발해도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미연합사가 용산기지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중이 20% 안팎인데다 군사시설 보호를 위해 주변 부지 추가 확보가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많게는 전체 부지의 30~40%를 공원조성 사업 대상에서 배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미연합사 이전 자체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연계돼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용산공원 조성 사업 역시 일정이 연기되거나 대폭 축소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용산구청 관계자는 "잔류시설이 늘어나면 당연히 공원화 면적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2016년까지 미군 이전을 마치고 개발에 착수하기로 했는데 일정도 늦어질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우려를 나타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