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인재 허브국가를 만들자] 임금체계 수술1순위

인재들이 이공계를 기피하는 가장 큰 이유는 낮은 소득이다. 법대나 의대를 나와 변호사, 의사를 하면 훨씬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데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은 이공대를 갈 필요가 있느냐는 인식이 팽배해 있다. 고급 인력이 이공계를 외면하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70~80년대 고도성장기에 최고의 대우를 받던 이공계 인력의 소득은 90년대 이후 다른 분야에 비해 오히려 낮아졌다. 사회진출 첫 단계에서부터 임금수준은 법ㆍ의학계열은 물론 상경계열에 비해 적다. 기업연봉공개 사이트인 페이오픈에 따르면 지난해말 현재 신용평가사의 초임 연봉은 3,500만원, 금융업은 2,400만~3,000만원에 달하는 반면 이공계치고는 비교적 각광을 받는다고 알려진 전자 및 IT업종은 1,800만~2,300만원에 불과하다. 변호사ㆍ의사 등 고소득 전문직과 비교해 보면 이공계를 기피하는 까닭이 더욱 분명해 진다. 개업 의원의 연간 순수입은 평균 2억원, 개업 변호사의 연간 수임료는 평균 1억8,000만원선인데 비해 국립대 자연대 교수의 연봉은 4,000만원 안팎이다. 미국ㆍ프랑스 등 선진국은 우리와 정반대다. 특히 프랑스의 경우 인문계 출신의 대졸 초임이 1,500유로(약 170만원)지만 이공계 출신은 2,500유로(약 280만원)에 달한다. 미국은 엔지니어의 보수가 시간당 31.37달러(지난해말 기준, 미국노동통계국 자료)로 변호사, 판사(32.35달러)등과 함께 최고 수준이며 일반 경영관리자(27.93달러)보다 오히려 높다. 이들 선진국에서 이공계 출신은 직장생활을 처음부터 기업체 간부사원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우리나라의 최대 경쟁대상국으로 부상한 중국도 지난 99년부터 국가에서 주는 상중 최고액인 500만 위안(약 8억원)을 매년 2명의 과학자에서 과학기술대상이라는 명목으로 지원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