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국내 웹 사이트의 ‘MS 종속’ 심각

국내 웹 사이트의 마이크로소프트(MS) 기술 종속성이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3개월간 국내외 100대 민간 웹 사이트를 대상으로 호환성 실태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 국내 웹 사이트의 호환성은 전년 대비 개선됐으나, MS 기술에 대한 종속성은 여전히 상당하다고 13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3종 이상의 다양한 브라우저를 지원하는 국내 웹 사이트는 22개로 전년 대비 5개 증가했다. 그러나 해외 주요 100대 웹 사이트에서는 91곳이 멀티 브라우저를 지원해 아직도 인터넷 익스플로러(IE)에 대한 종속성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또 국내 100대 웹 사이트 중 액티브 엑스(Active X)를 사용하는 사이트는 75개로 전년 대비 5개 감소했으나, 해외의 경우 35개 사이트만이 액티브 엑스를 사용해 여전히 격차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액티브 엑스가 사용되는 분야의 경우 국내에서는 보안(27.4%), 인증(18.8%), 결제(15.1%) 등 금융과 결제 관련 기능이 전체의 61%를 차지했다. 반면 해외에서는 주로 멀티미디어(46.9%), 전자문서(32.6%) 등에 사용되며 국내와 달리 결제(0.0%), 보안(0.9%), 인증(1.7%)에서는 사용 사례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웹 호환성 가이드라인과 오픈뱅킹 확대, 액티브 엑스 프리 공인인증기반 구축, HTML5 공동모듈 개발 등 인터넷 이용환경 개선 대책을 수립·추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