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차기 기업은행장 인선권 대통령 당선자에 넘길수도"

청와대는 강권석 기업은행장의 갑작스런 타계로 공석이 된 차기 기업은행장의 인선권을 차기 대통령 당선자에게 넘기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다만 임기 만료를 앞둔 예금보험공사와 자산관리공사(캠코)의 인선은 현 정부에서 맡기로 했다. 청와대의 한 핵심 관계자는 3일 기업은행장 인선 문제와 관련해 “(행장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검증 등 실무 절차를 거치는 것까지 포함해) 인선 작업에 한달가량 걸린다”며 “이런 점을 감안해 시점상 후임 기업은행장 인선은 차기 정부(인수위)의 의견이 반영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결국 차기 대통령 당선자가 인사권을 갖는다는 뜻이냐’는 질문에는 “꼭 그렇게 보지는 말라”고 밝혔지만 인수위가 구성되는 시점과 공모 시점 등이 맞물린다는 점 등을 감안, 기업은행장 인선은 사실상 차기 정부로 넘기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현재까지 후임 기업은행장은 진동수 전 재정경제부 2차관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져왔으며 올 초 인선과정에서 강력한 후보였던 장병구 수협 신용부분 대표도 다시 후보로 거론돼왔다. 하지만 차기 정권으로 인사권이 넘어가면 당선자 측과 관련이 있는 뜻밖의 인물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청와대는 하지만 예보와 캠코 사장은 이미 인선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만큼 현 정부에서 인사권을 행사하기로 했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연내 인선 작업이 마무리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다른 관계자는 “예보는 이우철 금융감독원 부원장이, 캠코는 이철휘 재경부 대외부문 장관특별보좌역이 유력한 상황이었지만 기업은행장 변수로 다소 틀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 인사 구도가 바뀔 수도 있음을 내비쳤다. 이 부원장이 예보로 갈 경우 후임 부원장에는 김용환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 등이 거론되고 있다. 한편 임기 말 고위공무원의 인사 동결 여부에 대해 천 대변인은 “대개 대선 이후 인수위 측에서 정부에 대해 임기직을 제외하고는 고위직 공무원에 대해 인사 보류 요청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현 정부에서 어떻게 하겠다는 구체적인 입장이 서있는 것은 없고 이 문제는 인수위가 알아서 판단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