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공자금 상환예산 전용 논란

與, 추가회수 자금 경기부양 활용 주장에 "공자금 제때 안갚으면 원리금 부담 커져"


공자금 추가회수분 전용 논란 우리당 "경제활성화·복지예산 활용" 주장에野 "여유있으면 감세로 국민부담 줄여줘야" 김민열 기자 mykim@sed.co.kr 온종훈기자jhohn@sed.co.kr 공적자금 추가 회수분 전용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오는 9월 매각될 대우건설이 당초보다 높은 가격에 팔릴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내년으로 예정된 대우인터내셔널ㆍ대우조선해양 등 옛 대우 계열사 매각에 따른 추가 회수금액을 열린우리당이 경제 활성화와 복지예산에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재정경제부는 “기획예산처와 협의해 검토하겠다”며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지만 ‘쌓인 빚은 갚지 않고 벌써부터 대선을 위한 경기부양 재원 걱정이냐’는 따가운 눈총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열린우리당은 지난 14일 정부와 가진 예산편성 당정협의에서 내년 공적자금 상환용으로 책정된 3조2,000억원의 예산을 경제 활성화와 복지예산으로 활용할 것을 주장했다. 강봉균 의원은 “공적자금 투입 기업의 매각금액이 당초 예상보다 더 걷힐 것으로 보이는데 추가 회수 부분을 예산수요가 많은 복지와 갈수록 예산이 줄어드는 사회간접시설(SOC) 등에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2002년 말 공적자금 상환대책에서 총 투입액 159조원 가운데 97조원을 갚아야 할 채무로 산정, 이중 예금보험공사와 자산관리공사의 자체자금ㆍ회수자금으로 갚을 수 있는 28조원을 제외한 69조원에 대한 대책을 수립했다. 당시 원금 20조원은 금융기관 특별기여금(예금 평잔의 0.1%)으로 부담하고 나머지 49조원은 일단 국채로 전환한 뒤 앞으로 25년 동안 일반회계에서 2조원씩 빼내 원금을 갚기로 했다. 그런데 시장상황이 좋아지면서 공자금 상환대책 수립 당시보다 더 많은 돈이 걷힐 것으로 예상되자 열린우리당에서 이의 사용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현재 공자금 상환대책에는 5년마다 재계산해 비율을 조정하되 일단 49조원을 갚고 2027년에 잔여재산이 있으면 국고에 귀속하도록 돼 있다. 김석동 재경부 차관보는 15일 “공적자금 투입 기업의 기업가치가 올라 2002년보다 회수여건이 좋아진 것은 사실”이라며 “당의 지적에 따라 기획예산처와 협의해 검토할 예정이며 현재는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고 말했다. 문제는 당에서 제기한 추가 회수금액이 아직 실현되지 않은 이익이라는 데 있다. 대우건설을 제외한 대우조선해양ㆍ대우인터내셔널 등의 매각은 아직 구체화되지 않고 내년 중으로만 잡혀 있을 뿐이다. 특히 최근 들어 주식시장이 나빠지면서 기대수익도 함께 떨어지고 있는 상태다. 이에 따라 섣불리 공자금 상환 예산을 복지와 SOC 예산으로 사용할 경우 공적자금 상환계획에도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공적자금을 제때 상환하지 않으면 원리금 부담도 그만큼 늘어난다. 한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이날 성명을 내고 열린우리당의 방침에 대해 "공적자금 관리의 원칙을 훼손하는 것"이라며 "인위적인 경기부양책을 쓰지 않겠다는 참여정부의 정책기조에도 정면으로 배치된다"고 당정 모두를 비판했다. 입력시간 : 2006/06/15 17:25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