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올 신보 보증여력 54조로 확충

올 신보 보증여력 54조로 확충 중기·벤처기업에 시설자금등 43조 지원 정부는 기업자금을 원활히 조달하기 위해 신용보증기관의 보증여력을 지난해 33조원에서 올해 54조원으로 21조원 늘리기로 했다. 이를 통해 기업 자금지원 규모를 지난해 43조원에서 올해 최대 73조원으로 약 30조원 확대할 방침이다. 재정경제부는 16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기업자금 지원을 위한 신용보증 확충방안'을 발표했다. 관련기사 정부는 일시적인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기업의 회사채 차환을 위해 신용보증기관이 10조원 규모의 프라이머리CBO(발행시장 채권담보부증권) 보증을 제공, 총 20조원 규모의 회사채 차환발행을 지원하기 했다. 또 지난해 11ㆍ3일 회생가능 기업으로 판정된 235개 기업에 7조원의 CLO(대출채권담보부증권) 보증을 통해 10조원의 자금공급을 지원한다. 중소ㆍ벤처기업에 대해서는 37조원의 보증으로 43조원의 시설ㆍ운전자금, 기술자금 등의 공급을 지원하게 된다. 특히 벤처기업 등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벤처기업 전용 프라이머리CBO 보증제도' 등을 통해 6조원을 보증함으로써 7조원의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활용, 기술신보의 보증을 붙여 벤처기업 전용 프라이머리CBO를 발행하기로 했다. 재경부는 신용보증기금과 기술신용보증기금 등 신용보증기관의 추가보증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1조4,000억원의 보증재원 조성방안을 조속히 마련, 발표하기로 했다. 재경부는 또한 주채권은행이 주도하는 프라이머리CBO제도를 새로 도입, 보증을 지원하고 주채권은행이 참여하거나 회사채 신속인수 방안으로 보증지원이 제공되는 경우는 동일기업 및 동일계열 보증한도를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따라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대기업들이 한도없이 프라이머리CBO제도를 통해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어 자금난이 크게 완화될 전망이다. 특히 보증비율 상향조정으로 CBO의 상품성을 높여 채권형 펀드뿐 아니라 내ㆍ외국인도 직접 투자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외화표시 CBO를 발행할 때도 보증지원을 해주기로 했다. 재경부는 또 구매기업이 협력업체에 카드로 결제하도록 하는 기업구매전용카드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이에 대해서도 신용보증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또 보증금이 없어 공사수주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건설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입찰 및 계약보증금을 신용보증기금이 발급하는 보증서로 대납할 수 있도록 한 이행담보금보증의 보증대상을 공공기관뿐 아니라 민간기업까지 확대했다. 안의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