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일, 선박 후판 두께 기준 강화 `고심'

국제 선박감리회사 연합체인 `국제선급연합회(IACS)'가 유조선과 벌크선의 후판 두께를 늘리기로 최종 합의함에 따라 한국과 일본조선업계가 비용 상승을 우려하며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영국의 로이드선급(LR)과 미국선급협회(ABS), 노르웨이선급협회(DNV) 등 3대 선급은 유조선과 벌크선 건조용 후판의 두께를 통일하기 위한 `공통구조규칙(CSR)'을 내년 4월부터 적용키로 했다. 공통구조규칙은 국제해사기구(IMO)가 선박사고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 등을 줄이려고 만든 방침으로, 이들 선급의 최종안이 통과되면 선체가 최대 5㎜ 정도 두터워지면서 후판이 7% 가량 더 들어가 건조 비용이 그만큼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국내 조선업계 임원들은 지난주 일본을 방문해 일본 조선업 관계자들과 CSR 도입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고 공동 대응 방안을 심도 있게 모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모임에 참석했던 한 관계자는 "국제선급연합회는 안정성 확보 차원에서 후판 두께를 늘리자는 데 반해 한국과 일본 조선소 입장은 현재 기준으로도 충분하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그는 "양국은 일방적으로 선주측이 요구하는 대로 다 받아들이면 건조 단가만올라갈 것으로 본다"면서 "처음에는 선주가 이 비용을 댄다고 해도 결국에는 조선소부담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일 양국 조선업계측은 아직 CSR을 검증할 소프트웨어가 마련되지 않았고 선주와 조선소가 납득할 매뉴얼도 없기 때문에 내년 4월 발효 전까지 서로 만족할 만한 절충점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CSR 적용으로 자재비가 상승하면 조선소가 생산성을 향상시킬 때까지 선가가 올라 간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면서 "조선소들이 후판 두께를강화시키지 않고도 충분히 안전하다는 점을 선급에 설득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