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산·경남 공직사회 "檢 칼끝오나" 긴장

스포츠 시설·골프장등<br>인허가 비리 수사 본격화


검찰이 부산 경남지역의 대형 스포츠 시설과 골프장 등에 대한 인허가 비리 수사에 본격 나서면서 공직사회가 긴장하고 있다. 최근의 전국의 토착비리 수사와 맞물려 공직사회를 향한 사정의 신호탄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바짝 숨죽인 상황이다. 2일 부산지검 외사부(박성동 부장검사)에 따르면 부도가 난 부산 남구 황령산 실내 스키돔 운영사인 ㈜스포츠랜드 하모(56·여) 회장과 임모(44) 본부장 등 사건의 핵심관계자 2명을 지난주말 구속한데 이어 이들이 수십억원을 횡령한 혐의를 포착하고 이 돈의 용처에 대해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검찰은 이 사건이 단순 사기사건을 넘어 대형 인허가비리 사건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검찰의 칼끝이 공직사회로 향하고 있는 것이다. 검찰은 스키돔 건설 사업이 환경 파괴 논란을 무릅쓰고 추진된 데다 하 회장 등이 정·재계 등 각계 주요 인사들과 광범위한 인맥을 형성한 것으로 알려진 만큼 인·허가 과정 및 공사 과정에서 금융권과 공무원 등에 대한 금품로비 가능성에 수사의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검찰은 이들에게 수백억원대의 대출을 승인한 금융권 S사 실무자 2명으로부터 "사례비 명목으로 1만달러를 받았다가 돌려줬다"는 진술을 받아낸 것으로 전해져 상당수 로비 정황을 파악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부산지검 동부지청도 최근 경남 양산CC인허가 과정에서 5억5,000만원의 금품로비를 벌인 양모 전 거제시장과 뇌물을 받은 경남도 공무원 박모씨(6급) 등 2명을 구속 한데 이어 이 사건을 인허가 비리 수사로 전면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남지역 관가도 바짝 긴장하고 있다. 검찰은 경남도와 양산시ㆍ환경부 공무원 등 전방위로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다. 하위직은 물론 고위직 공무원까지 수사대상에 올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다음에는 누가 소환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소환 예정자의 구체적인 이름까지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의 자살로 한차례 홍역을 치렀던 양산시도 지난해 12월 검찰 수사관들이 인허가 관련 담당 부서를 통해 결재과정 등이 담긴 서류 뭉치를 챙겨가 조만간 공무원들을 상대로 조사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자 담당 부서를 중심으로 공무원들이 초긴장 상태다. 한편 검찰이 양모(72) 전 거제시장의 금품로비 대상으로 거론한 낙동강유역환경청도 자체 파악에 나서는 등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