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나라 공천심사 ‘실세 이력’ 인플레

신청자 3분의1이상 인수위·선대위 경력 내세워<br>서울 48개 지역구선 250명중 91명 달해 '혼란'

한나라당의 4ㆍ9총선 공천과정에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자문위원, 당선인 특보, 선대위원회 분과위원장 등 ‘실세’임을 자처하는 이력들이 난무해 심사과정에서 ‘액면가’ 이하의 대접을 받고 있다. 1,173명(비공개 포함)의 신청자 중 어림잡아도 3분의1 이상이 인수위나 선대위 관련 직책을 경력난에 적어 넣었다는 것이 당 관계자들의 귀띔이다. 실제 지난 14일까지 1차 면접심사를 마친 서울 48개 지역구의 경우 모두 250명의 후보자 가운데 인수위 자문위원, 당선인 특보, 선대위 위원장 등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과 관련된 경력을 기재한 사람만도 91명에 달했다. 이중 선대위 위원장 및 특보 직함이 44명으로 가장 많았고 인수위 자문ㆍ전문위원도 20명이나 됐다. 후보자 특보가 11명, 취임식 자문위원도 8명에 달했다. 심사 대상 중 다수가 인수위ㆍ선대위 경력을 내세우다 보니 정작 ‘인수위ㆍ특보’ 인플레이션 현상이 벌어져 이러한 경력들은 무시되기 일쑤라는 것이 공심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한 관계자는 “대부분의 신청자들이 선대위 분과위원장이나 특보 등의 경험을 내세워 그 자체로 옥석을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면서 “이른바 실세들은 그런 경력은 적지도 않고 그야말로 이름뿐인 특보ㆍ위원들이 타이틀을 적어넣는 경우가 많아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는 적이 많다”고 말했다. 실제 1차 심사를 마친 한 후보자도 “워낙 면접시간이 짧은데다 하도 인수위 관련 경력들이 많아서인지 그런 것은 아예 묻지도 않는 분위기”라며 “다들 어떤 방식으로든 선거에서 역할을 했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특별한 차별성이 없다고 보는 것 같았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인플레이션 현상에 대한 비판이 거세다. 한 현역 중진의원은 “우리 지역에도 무슨 특보 출신이라고 적어낸 사람이 여럿 된다”면서 “‘친박’ ‘친이’ 상관 없이 대선 마지막에는 지역용으로 특보나 위원장을 수천명씩 임명하는데다 인수위 자문위원도 너무 많이 임명해 내부 파악조차 잘 안 될 지경이니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 것”이라고 꼬집은 뒤 “의미 없는 직책남발은 지역에서 왜곡된 정보로 바뀌어 혼란만 초래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