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위안화 변동폭 확대 합의 없었다"

中 인민銀 부행장 주장… 폴슨 발언과 달라 주목


우샤오링(吳曉靈) 중국 인민은행 부행장이 미국측의 '위안화 환율 변동폭 확대 합의' 주장을 전면 부인하고 나섰다. 이는 '위안화 주권론'을 고집해온 인민은행의 입장을 거듭 확인한 것으로 미국측의 반응이 주목된다. 헨리 폴슨 미 재무장관은 지난 주 미ㆍ중 전략대화의 성과를 설명하면서 "중국측이 위안화 환율 변동폭 확대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고 주장했었다. 20일 베이징신보(北京晨報)에 따르면 우 부행장은 전날 '중국중서부 국제투ㆍ융자 고위급 포럼'에서 "지난 주 폴슨 장관의 방문기간 그를 만난 중국 인민은행의 고위 관리들은 어떤 합의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우 부행장은 또 "폴슨 장관의 방중기간 양국은 '전략대화'를 진행했을 뿐 결코 세부적인 문제를 다루지 않았었다"면서 "따라서 중국은 미국측에 아무런 확답도 주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 부행장은 "내년 미국에서 개최될 2차 미ㆍ중 전략대화에서도 이번과 마찬가지로 개략적인 토론만 하고 세부적인 문제는 다뤄지지 않을 것"이라며 위안화 환율에 대한 논의 가능성을 배제했다. 그러나 미국측은 인민은행의 최근 위안화 유연성 노력을 부분적으로 평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았다. 미 재무부는 19일(현지시간) 의회에 제출하는 반기 환율보고서에서 "달러화에 대해 자국 통화가치를 인위적으로 낮게 유지해 미국 시장에서 불공정한 이익을 추구하는 국가는 없다"며 "중국이 보다 유연한 위안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보고서는 "중국의 노력이 대단히 미흡하다"며 "중국이 환율 시스템 개혁에 너무 조심스럽게 접근하면서 국내 경제를 왜곡시키고 있으며 글로벌 경제의 불균형 해소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