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하반기 경제 불확실성 증폭

서브프라임 모기지發 세계 금융시장 불안 가속<br>선진국 경제성장 둔화따라 수출 악영향 가능성<br>설비투자 감소등 실물경제도 큰 타격 입을듯


서브 프라임 모기지 위기가 세계경제에 폭풍의 핵으로 등장하면서 하반기 우리 경제에 불확실성이 증폭되고 있다. 당초 정부와 민간 경제연구소가 하반기 우리 경제의 성장률 전망치를 잇달아 상향 조정했는데 세계 금융시장 불안이 가속화돼 미국 등 선진국의 경제성장 둔화로 연결될 경우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악영향을 줄 전망이다. 또 이 같은 불안이 상당기간 지속되면 국내적으로도 설비투자와 민간소비 감소 등 실물경제에도 상당한 파급력을 가지게 될 것으로 우려된다. 일단 정부는 서브 프라임 모기지 부실로 인한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판단을 하면서도 국제 금융시장의 충격으로 엔 캐리 자금의 급격한 회수 등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하고 있다. 재경부의 한 관계자는 “국내 금융시장이 서브 프라임에 크게 물려 있는 게 없어 그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면서도 “그동안 세계 경제가 넘쳐 나는 유동성 잔치 속에서 리스크 관리에 소홀해왔던 만큼 서브 프라임발 조정의 강도에 대해서는 긴장을 늦출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금융시장의 충격으로 인한 하반기 경기 위축 가능성에 대해 “국제통화기금이 최근 서브 프라임의 잠재적 리스크를 고려한 상황에서도 세계 경제의 성장률을 높였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위험성은 아직 낮아 보인다”고 관측했다. 그러나 삼성경제연구소 등 민간연구소의 시각은 이와 사뭇 다르다. IMF의 세계 경제성장률 상향 조정 당시 분석된 서브 프라임발 위험요인이 정확히 산출된 계량적 지표를 토대로 나왔는지 의구심이 들 뿐만 아니라 한번 충격이 오면 연쇄반응을 일으키는 금융시장 특유의 속성상 파장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다. 특히 당초 정부와 민간연구소가 하반기 우리 경제의 불안요인으로 지목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 국제유가 및 고유가 등 외부 변수의 불확실성이 보다 확대되고 있는 만큼 민간소비ㆍ설비투자 등 실물경제에 일정한 변동이 초래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장재철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올 상반기를 보면 외견상 증시 활황이 가계의 소비 확대로 이어지는 하방침투 효과가 민간소비 관련 지표 등을 통해 확인됐지만 하반기에는 그 반대의 메커니즘으로 가계와 기업의 지출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가하락→자산소득 감소→민간소비 감소로 이어지는 이른바 ‘역자산효과’가 하반기 우리 경제 회복을 가로막는 주요 변수로 부상할 가능성을 간과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 2ㆍ4분기까지 민간소비 증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4.1%로 선전하고 설비투자(9.1%), 소비재 판매(4.7%)에서도 좋은 성적을 냈던 경기의 순탄한 흐름이 서브 프라임 위기로 둔화할 경우 하반기 성장률 전망치 역시 4.5% 아래로 조정될 것으로 보인다. 장 수석연구원은 “위험자산 회피현상으로 그간 고수익 투자처로 운용해왔던 기관들이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해 급격한 국내 증시자금 이탈이 촉발될 경우 그 영향은 충분히 실물경제 부문까지 전이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세계 경제가 급격히 위축될 경우 우리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는 수출 부문까지 타격을 받는 최악의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