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CD·은행채 발행 싸고 '설전'

한은총재 "자금관리 어려워지니 줄여라"<br>은행장들 "축소땐 대출 여력 떨어져"

은행들의 양도성예금증서(CD)와 은행채 발행이 급증하면서 시중 유동성 증가세를 부추기는 문제를 놓고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와 시중은행장들이 설전을 벌였다. 이 총재가 CD와 은행채 발행 비중이 높아진 데 대해 자제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은행장들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하게 밝힌 것이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 총재는 이날 은행장들과 가진 금융협의회에서 “시장 수급에 민감한 CD와 은행채 비중이 높아지면 은행의 자금관리가 어려워지고 관리비용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지난달 금융협의회에서도 “CD나 은행채 등 시장성 수신 증가세가 이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중장기적으로 자금수급을 균형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하지만 은행장들은 이날 “자본시장통합법이 시행될 경우 은행의 결제성 자금이 증권사로 빠르게 이동할 것”이라며 “재원조달상 CD와 은행채에 대한 의존도가 당분간 지속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일부 은행장들은 신바젤협약이 시행되면서 은행들의 대출여력이 저하될 수 있다며 시장성 수신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은행장들은 “지난 수년간 순이익이 큰 폭 증가하면서 은행의 자기자본 확충으로 대출확대 여력이 크게 증대됐지만 내년부터 신바젤협약이 시행되면 위험자산에 대한 자기자본 부담이 늘어나 대출 여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은행장들은 이어 “최근 거시경제지표가 호전되면서 기업들의 시설자금과 운영자금 수요가 늘어나는 등 금융현장에서 경기회복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고 밝혀 최근의 대출확대가 경기회복에 따른 자연스런 현상임을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는 강정원 국민은행 행장, 박해춘 우리은행 행장, 신상훈 신한은행 행장, 김종열 하나은행 행장, 리처드 웨커 외환은행 행장, 존 필메리디스 SC제일은행 행장, 하영구 한국씨티은행 행장, 양천식 수출입은행 행장, 정용근 농협 신용대표 이사, 장병구 수협 신용대표 이사, 김종배 산업은행 부총재가 참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