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가습기 잘못 사용하면 건강 해쳐

최소 2~3m멀리 설치해 간접 가습해야<br>찬 습기가 천식환자 증상 악화 시킬수도

겨울철이 되면 건조한 실내 공기로 인해 호흡기 질병을 앓는 경우가 많다. 저항력이 떨어진 연령이나 아파트에서 생활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공기가 건조할 때 방안의 습도를 높이기 위해, 특히 몸에서 열이 나고 가래가 많은 호흡기 질환에 걸렸을 때 가습기를 사용하면 호흡기에 필요한 습기를 제공, 가래를 묽게 해주고 열도 떨어뜨려 주는 역할을 한다. 가습기를 틀어 실내 습도를 높여 주면 숨쉬기가 편해지고 목이 한결 부드러워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모두 좋은 것은 아니다. 대전선병원 김지영(소아과) 과장은 “가습기를 지나치게 머리 가까이 두면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면서 “세균증식 방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주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오히려 병을 얻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는 말이다. 가습기는 최소 2~3m는 떨어져 사용해야 한다. 머리맡에 두고 가까이서 자는 것은 좋지 않다. 가능하면 침실이 아닌 방에 가습기를 놓아 간접 가습이 되도록 한다. 가습기와 지나치게 가까운 곳에서 자면 굵고 차가운 수분입자가 바로 호흡기로 들어가 기관지 점막을 자극해서 건강을 해친다. 가습기는 모든 사람에게 좋은 것이 아니다. 기관지가 예민할 경우에는 찬 습기가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기관지 천식환자는 조심해야 한다. 필요할 경우에는 미지근한 물을 넣어 습기를 맞춰주는 것도 취할 수 있는 방법 중이 하나이다. 장시간 사용하는 것도 금한다. 가습기를 풀 가동해 실내가 축축해지게 만들면 불쾌 지수가 올라간다.따라서 천식 등 기관지가 예민하다면 잠자리에 들 때 중간 이하로 용량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안은 수시로 환기 시키고 항상 깨끗한 물을 사용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관리를 소홀히 하면 안에 들어있는 물에서 세균이 자라 건강에 좋지 않다.정수 된 물이 가장 좋고 수돗물을 사용할 때는 하루정도 두어서 불순물을 가라앉힌 다음 사용한다.아기가 있어 위생이 특히 신경이 쓰인다면 물을 끓였다가 식혀서 사용하는 것도 권할만하다. 물통은 베이킹 소다나 연성세제를 이용해 매일(적어도 2일에 한 번) 청소해 곰팡이가 번식하지 않게 한다. 김 과장은 “가습기에는 항상 물이 담겨져 있어 균과 곰팡이가 번식하기 쉽다”면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물을 빼내고 건조한 상태로 보관해야 곰팡이가 생기기 않는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