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그룹 대응전략/공식적 입장표명 유보/서둘지 않고 계속 추진

공업발전심의회의 심의결과 제철사업불허방침을 확인한 15일 현대그룹은 공식적인 입장표명을 일체 유보했다.정부방침이 그렇다면 일단 그 방침에 따르겠지만 일관제철소건설은 그룹의 숙원사업이니만큼 결코 포기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이다. 서두르지 않고 앞으로 시간을 두고 대책을 마련해 제철사업을 계속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시기는 언제라고 명확하게 밝히지 않고 있다. 현정부에서 강행할지, 아니면 차기 정부에서 추진할지에 대해서도 함구하고 있다. 그러나 현정부에 부담을 줌으로써 관계를 더 나쁘게 할 필요는 없다는 분위기다. 그룹관계자는 『그동안 현대제철사업의 타당성에 대해 여러가지 경로를 통해 공론화함으로써 수급불균형문제를 비롯해 환경오염문제 등 부정적인 시각을 많이 누그러뜨리는데 일단 성공했다』고 자평하고 『경제력집중문제등 정부가 계속 이견을 제기하고 있는 문제에 대해서도 해결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그렇다면 현대는 앞으로 어떤식으로 숙원을 풀어나갈까. 현대그룹은 재정경제원을 중심으로 일관제철소사업에 대한 불허쪽으로 분위기가 기울자 연일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대응방안을 숙의해왔다. 이 대책회의에서 현대는 현대제철호의 진수를 위해 3가지 방안을 검토해왔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 내용은 ▲사업계획서를 제출해 현정부에서 사업을 강행한다 ▲미니밀(전기로 열연공정)에만 진출하는 절충안을 제시해 일관제철사업의 포석으로 삼는다는 것 등이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대는 그러나 이 가운데 사업강행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와 정면으로 부딪치는 모험을 할 필요가 없고 그동안 개선돼온 대정부 관계에 찬물을 부어서는 안된다는 분석에서다. 그룹 일각에서는 절충안을 유력한 대안으로 꼽고 있으나 이 또한 정부를 설득해 사업을 성사시키기는 어렵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 철강공급이 달릴 것이라는 현대측의 주장과는 달리 수급불균형이 더욱 악화되고 재벌의 문어발식 기업확장을 막아야한다는 정부논리는 표면상의 이유일 뿐 입지문제가 앞으로의 정치일정과 맞물려있기 때문으로 재계는 분석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는 지금 당장 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기 보다는 지금까지 기다려왔듯이 앞으로도 시간을 갖고 현대제철사업의 타당성에 관한 여론을 진작시킨뒤 공론으로 제기되면 다시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한상복>

관련기사



한상복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