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나노소자 대량조립 기술, 서울대교수 세계 첫 개발

서울대는 21일 이정훈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가 세계 최초로 전기장을 이용해 나노소자를 대량 조립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직류와 교류 전기장을 이용해 탄소나노튜브를 원하는 위치에 수 백만~수억개까지 동시에 조립하는 기술을 개발, 각종 나노소자를 이용하는 메모리ㆍ센서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 교수의 논문은 물리화학 분야 국제 전문 학술지인 랭뮤어(Langmuir) 최 근호에 게재됐으며 과학 전문지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머티리얼스(Nature Materials)’에서 나노연구 분야의 주목할 만한 연구성과로 소개됐다. 이 교수는 “지금까지 실험실 수준에서 보여진 나노기술의 귀중한 결과들을 실제 우리 생활주변에서 구현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최석영 기자 sychoi@sed.co.kr

관련기사



최석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