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비정규직 임금 정규직 85%로”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등 노동계가 올해 임단협에서 비정규직 근로자의 처우개선을 핵심 사업으로 잡고 임금 인상 등 개선책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그러나 경영계는 획일적으로 임금을 올리는 것은 기업에 부담이 된다며 반발, 대립이 예상된다. 한국노총은 3일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을 정규직 임금의 85% 이상이 되도록 하고 출산ㆍ육아ㆍ질병ㆍ부상 등 일시적 결원이 생긴 경우에만 비정규직을 고용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단체협상 지침을 산하조직에 내려보냈다. 한국노총은 또 상시 근무직에 비정규직을 고용해 계약을 반복하는 사업장은 정규직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한편 정규직과 동일한 업무를 하는 상시 비정규직은 정규직 단협을 적용하도록 지시했다. 민주노총은 정규직 노조의 임금에서 일정 부분을 떼어내고 회사에서 일정부분 자금을 출연해 비정규직 근로자를 위한 `연대기금`을 마련하기로 하고 이달말까지 가칭 `비정규직 연대회의`를 구성할 방침이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정규직 노동자들이 임금 등에서 일정 부분 분담해 비정규직노동자들의 처우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며 “올해 임단협은 비정규직과 최대한 연대해 투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동응 경영자총협회 상무는 “임금은 직무상의 차이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며 “비정규직을 획일적으로 정규직의 일정 수준으로 올리는 것은 무리”라고 비판했다. <전용호기자 chamgil@sed.co.kr>

관련기사



전용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