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내년 코스피지수 흐름 90년 美증시와 비슷할 것"


코스피지수 내년 3분기 2,400 가능 내년 코스피지수 흐름이 1990년의 미국 다우지수 움직임과 비슷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양호한 수급과 실적 개선 등 증시 여건을 감안하면 내년 3ㆍ4분기에는 코스피지수가 2,400포인트까지 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23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 1989년 이후 코스피지수의 궤적이 1966년 이후 다우지수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우지수는 1966년 이후 1982년까지 16년간 600~1,000포인트 사이의 박스권에서 횡보했지만 이후 1,200포인트를 돌파한 후 1만선까지 수직 상승했다. 코스피지수도 1989년 이후 2004년까지 16년간 500~1,000사이에서 움직였지만 2005년 마의 1,200선을 넘어선 이후 현재 2,000고지에 올랐다. 김정환 대우증권 연구원은 “양국 증시 지수의 장기적 흐름이 비슷하며 증시 내외의 여건도 닮은 꼴”이라며 “저금리기조와 적립식펀드 등 간접투자 문화의 확산, 급속히 호전되는 기업가치, 공격적인 연기금 자금의 증시유입 등 국내 상황은 20년전 미국과 유사한 모습으로 전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국내 증시도 지난 1980년대 초반에서 2000년까지 다우지수가 10배 이상 뛴 미국 증시의 대세상승 국면과 유사하게 진행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도 나오고 있다. 특히 2008년 말 이후 코스피지수와 1987년 말 이후 다우지수는 거의 똑 같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를 감안할 경우 지난 1990년 다우지수를 통해 내년 코스피지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김정환 연구원은 “1990년 다우지수를 통해 내년 코스피지수를 예상하면 1ㆍ4분기에서 3ㆍ4분기까지 점진적 상승이 예상된다”며 “고점수준은 대략 2,350~2,400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우지수는 1990년 3ㆍ4분기 이후 한차례 깊은 조정을 받았는데 코스피지수도 내년 3ㆍ4분기 한차례 비교적 큰 폭의 조정에 들어가면서 지수 바닥이 1,800~1,850까지 내려 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3ㆍ4분기에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4ㆍ4분기에 반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경제는 1990년 이후 인터넷 기업 붐에 힘입어 10년간 장기 호황을 구가 하면서 주가가 급상승세를 지속해 다우지수가 1만선을 돌파하는 기염을 통했다. 이런 장기랠리의 출발이 1990년으로, 미국 경기는 1990년 초반부터 1991년 말까지 U자형의 패턴을 보였고 이후 장기성장이 지속되면서 주가지수도 급상승한 것이다. 김 연구원은 “1990년은 일본의 경제거품이 꺼지고 대신 미국이 닷컴과 소프트웨어라는 신산업을 중심으로 부활하던 분기점”이라면서 “국내 증시도 수급상 외국인 중심의 양호한 매수흐름과 정보기술(IT) 기업을 중심으로 실적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기대할 만 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