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부동산] 주택거래신고 후보지, 매도자 되레 느긋

정부의 주택거래신고지역 최종 발표를 앞두고 후보지역 아파트 거래시장에 서 오히려 ‘매도자 우위 장세’가 더욱 굳어지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서울 강남권과 성남시 분당ㆍ수정구 등에선 일부 매수자들이 신고지역 지정이전에 매매을 마치려고 전전긍긍하는 반면 매도자들은 오히려 기다려보 겠다는 심리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 기존 매수자 ‘계약 앞당겨 끝내자’는 식= 주택거래신고지역 발표를 앞두고 강남권과 분당ㆍ수정구 일대 각 구청에는 검인계약서 발급신청 건수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신고지역 지정 이전에 매매계약을 마무리 지어 취득ㆍ등록세 인상을 피해보겠다는 매수자들의 심리가 작용하고 있는 것. 강남구의 한 관계자는 “검인계약서 발급 신청이 평상시보다 2배 이상 늘어난 것 같다”며 “일부 신청자들은 검인계약서 발급 일자에 따라 취득ㆍ 등록세 적용이 어떻게 되는지 묻기도 했다”고 말했다. 현지 중개업소에도 이미 거래가 진행중이던 매매계약을 서둘러 마치려는 고객상담이 늘고 있다. 강남구 도곡동 한미부동산의 한 관계자는 “아파트 를 사고 팔 때는 거래 당사자들간에 가격협상으로 인해 계약서에 도장을 찍기까지 길게는 1~2주씩 걸리는 경우가 다반사인데 최근 취득ㆍ등록세 인 상에 부담을 느낀 매수자들이 계약기간을 앞당기고 있어 계약이 쉽게 성사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 매도자 ‘호가 안 낮추겠다’= 매수자에 비해 매도자들은 오히려 느긋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주택거래신고제가 적용되면 일시적인 거래위축이 예상되지만, 강남권과 분 당권 등은 실수요자 유입이 꾸준하기 때문에 거래가 다시 회복될 것이란 심리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주택거래신고지역 후보지에선 ‘매수자 우위’로 시장분위기가 전환될 것이란 일부 전문가들의 당초 예상이 빗나가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매 도호가도 요지부동이다. 분당구 샛별공인의 김종인 사장은 “급 매물을 내 놓겠다는 사람이 없는데 값이 내리겠냐”고 말했다. 또 신고지역이 확정되면 오히려 해당 지역 매도호가가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을 하는 중개업소들도 나오고 있다. 매수자 입장에선 신고지역 지정 후 취득ㆍ등록세를 더 부담했기 때문에 투 자비용이 더 들어간데다가, 향후 매도시 실거래가격이 파악돼 양도세 부담 도 사실상 늘어나게 되기 때문에 그만큼 매도호가를 높여 되팔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 지방 부동산 시장만 ‘죽을 맛’ = 충남 아산권의 중개업소 관계자들은 주택거래신고지역으로 지정되면 가뜩이나 얼어붙은 시장이 더 위 축될 것이라며 잔뜩 긴장하는 눈치다. 아산권의 경우 경부고속철 개통 바람으로 가격이 상승세를 타긴 했지만 서 울ㆍ수도권처럼 실수요 층이 두텁지 못하기 때문에 취득ㆍ등록세가 인상될 경우 거래공백이 불가피하다. 배방면 누리부동산의 한 관계자는 “신규아파트 분양은 호조를 보였을지 모르지만 일반 아파트 매매는 별달리 과열되지 않았다”며 “지금도 거래성사 건수가 드문데 주택거래신고지역으로 지정되면 사실상 개점휴업상태가 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설명했다. 민병권기자 newsroom@sed.co.kr, 이혜진기자 hasim@sed.co.kr <저작권자ⓒ 한국i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