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근혜 총리론' 손익계산

MB, 민심수습·당내화합·국정안정 도움<br>朴, 행정경험 기회…차기주자 입지굳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좌), 이명박 대통령(우)

‘박근혜 총리론’에 대한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정치적 손익계산은 어떨까?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는 최근 ‘박근혜 총리론’에 대해 각자 유ㆍ불리를 놓고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12일 전해졌다. 여권의 한 핵심 관계자는 “대통령도 총리 교체문제를 포함한 인적쇄신을 난국타개의 핵심으로 보고 박 전 대표에 총리제안 형식과 내용 등을 적극 검토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박 전 대표는 자신의 총리설이 여권에서 끊임 없이 흘러나오는 것과 관련, 측근을 통해 불쾌한 반응을 보였지만 청와대가 공식 제안할 것에 대비해 실익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으로선 박 전 대표를 총리로 기용할 경우 우선 쇠고기 파문 등으로 돌아선 민심을 수습하고 리더십을 회복, 국정안정을 도모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 당내 화합을 이뤄내고 흩어진 지지층을 재결집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두 사람은 그동안 4ㆍ9총선 공천과 친박인사 한나라당 복당 등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어 불편한 관계였던 만큼 서로 손을 잡게 되면 이 대통령은 통합된 여권의 뒷받침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박근혜 총리론은 ‘책임총리’ 이상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이 대통령으로선 권력을 나눠야 하는 부담을 갖는다. 박 전 대표가 총리직을 받아들이고 내각인선 등 과도한 권한을 요구할 경우 오히려 국정혼선 등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박 전 대표가 책임총리를 맡으면 실질적인 권한을 갖고 국정에 참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박 전 대표는 차기 대권이란 ‘큰 그림’을 그리려면 총리직 수행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충분한 행정경험이 아쉬운 상황이다. 국회의원 50여명의 세력을 가진 유력 대권주자로서 여권의 위기상황을 수수방관만 할 수 없는 점도 총리직 수락의 압력으로 작용한다. 원칙과 애국을 트레이드 마크로 가지고 있는 박 전 대표가 총리를 맡아 ‘구원투수’로 나선다면 차기 주자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할 수 있다. 그러나 책임총리라 하더라도 대통령 중심제에선 권한이 제한될 수밖에 없고 이 대통령의 지지율이 10%대까지 추락한 시점에서 총리를 맡을 경우 권한은 많지 않고 책임만 지는 위험이 뒤따를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