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동·서해안 50조 투입 관광·산업벨트 만든다

국토부 '발전종합계획' 확정<br>동해안- 에너지·국제관광 거점으로 개발<br>서해안- 반도체·바이오등 첨단산업 육성


정부가 동해안과 서해안을 산업ㆍ물류ㆍ관광거점으로 조성하기 위해 중장기적으로 총 50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동해안 권역은 에너지 및 관광산업, 서해안 권역은 지식 및 첨단산업 중심의 신성장축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국토해양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동해안권 및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을 최종 확정했다고 28일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정부의 3차원 지역발전전략(초광역ㆍ광역ㆍ기초) 가운데 초광역개발권 기본구상을 실현하고 지역을 특화 발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 전략을 담았다. 이번 발표로 지난 5월 발표된 남해안 권역 발전계획과 함께 한반도 주변의 3개 해안권에 대한 발전 청사진이 모두 마련됐다. ◇동해안 에너지ㆍ관광 산업벨트=동해안은 녹색성장을 선도하는 에너지 및 관광산업 중심의 산업벨트로 개발돼 국가에너지 생산량의 60%를 담당하게 된다. 울산~경주~울진으로 연결되는 원자력클러스터, 울산의 동북아 오일허브, 삼척의 복합에너지거점 등이 주력축이다. 기간산업이 집적된 울산(자동차ㆍ조선), 경주(부품ㆍ에너지), 포항(철강ㆍ신소재)을 연계한 트라이앵글 산업벨트와 함께 강릉~동해~삼척~울산을 잇는 신소재 산업 바이오클러스터도 만든다. 설악권(해양ㆍ산악), 경주권(역사ㆍ문화), 강릉권(휴양ㆍ문화), 울릉권(영토수호ㆍ해양생태) 등 지역별 특성을 바탕으로 관광 인프라를 정비하는 한편 권역별로 묶어 국제관광벨트도 만든다. ◇서해안 지식ㆍ첨단산업 벨트=서해안은 환황해 경제권을 주도할 지식 및 첨단산업벨트로 조성된다. 인천, 황해, 새만금ㆍ군산경제자유구역을 묶어 국제물류ㆍ컨벤션ㆍ관광산업을 융합한 국제비즈니스 거점으로 만든다.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산업벨트(파주~화성~평택~아산), 자동차 산업벨트(화성~아산~홍성~군산) 등 주력산업과 함께 신산업을 육성해 글로벌 전략산업벨트를 구축하게 된다. 항공(인천ㆍ김포ㆍ군산), 항공레저(태안), 조선 및 해양레저(화성ㆍ군산), 로봇(인천), 바이오(화성) 등의 신산업클러스터로 육성할 계획이다. ◇2020년까지 총 50조원 투입=국토부는 오는 2020년까지 민간자금을 포함해 총 50조원의사업비가 투입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동해안권에 약 24조8,000억원,서해안권에 약 25조2,000억원의 사업비가 각각 배정됐다. 국토부는 효율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지역발전 및 파급효과가 큰 사업부터 먼저 시행하고 해외 및 민간자본 유치, 투자ㆍ관광객 유치 등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공동마케팅도 펼칠 방침이다. 국토부는 사업이 진행되는 동안 동해안 권역은 48조원의 생산유발 효과 및 26만명의 취업유발 효과를 볼 것으로 내다봤다. 서해안 권역은 생산유발 52조원,취업유발 26만명의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했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향후 사업별 개발계획 수립과정에서 국가재정운용계획 등을 감안해 사업별ㆍ주체별 재원분담 방안을 확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