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국가스공사, 배관망 증설·해외 천연가스 확보 잰걸음

가스 도입선 확대…2017년 자주개발률 25%로<br>지속·안정적 공급위해선 미수금 5조 해소 시급

한국가스공사는 세계 천연가스 구매시장에서 가장 큰 손이다. 지난 1996년 10월 천연가스 생산을 시작해 지금은 국내 천연가스 총 생산량의 40%를 담당하는 가스공사 인천기지의 전경이 웅장하다. 인천기지는 최단기간인 13년3개월 만에 천연가스 1억톤 생산기록을 달성했다. 사진제공=가스공사



천연가스에 대한 기록은 그리스 시대, 기원전 1,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이 당시만 해도 난방이나 취사용은 아니었다. 그리스인들은 땅의 갈리진 틈에서 불꽃이 튀는 것을 보고 그곳에 신전을 지었다. 그리스의 운명을 결정지었던 델포이신탁 이야기다. 천연가스는 이처럼 수백만년 전부터 존재했지만 그 의미를 제대로 알게 된 것은 17세기 들어서였고 19세기 때야 비로소 불을 켜는 데 이용하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천연가스의 역사는 언제 시작됐을까. 시작은 한국가스공사와 함께 한다. 지난 1983년 공사가 만들어지고 1986년에는 발전용 천연가스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국내에서 천연가스라는 단어가 생활에 들어온 지 불과 20여년 밖에 되지 않았지만 지금은 1년에 2,800만톤을 사다 쓰는 세계2위의 천연가스 수입대국이 됐다. 가스공사는 천연가스를 수입해 각 가정에 공급하는 것뿐 아니라 미래에도 안정적으로 천연가스를 쓸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해야 하는 막중한 책임도 안고 있다. 이를 위해 가스공사는 우리나라를 한 바퀴 돌 수 있는 배관망을 구축한 데 이어 1,200㎞의 망을 추가로 깔고 세계 곳곳에 있는 에너지 자원을 확보하고 있다. 이들 사업에는 필요한 자금만도 수조원. 그러나 정부는 2008년 3월 가스 도입가격과 환율이 치솟자 물가안정을 위해 가스 공급가격을 묶었다. 일단 사오는 것보다 싼 값에 가스를 팔고 손해가 나는 부분은 추후에 가격을 올려 받도록 한 것이다. 일종의 외상인 셈이다. 하지만 결과는 엄청난 미수금으로 돌아왔다. 지금까지 쌓인 미수금은 5조원을 넘나들고 부채비율은 450%에 육박했다. 자금조달에 빨간불이 켜지면서 안정적인 가스공급과 자원확보를 위한 작업에 제동이 걸리자 정부는 오는 3월 요금연동제를 재가동하기로 했다. ◇우리나라를 한 바퀴 도는 가스 배관망 구축=천연가스는 오랜 세월 퇴적된 유기물질에서 만들어진다. 주로 산유지 부근 지하에 매장돼 있는데 영하 162도로 냉각시켜 부피를 600분의1로 압축한 액화천연가스(LNG)로 만들어 대량으로 수송하고 저장한다. 가스공사는 소비자들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천연가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가스 공급을 책임진다. 전국의 주배관만도 2,739㎞로 우리나라를 한 바퀴 돌고도 남는 길이지만 2013년까지 1조6,264억원을 투자해 강원과 충청ㆍ영남ㆍ호남지역에 추가로 1,200㎞의 가스관을 건설할 계획이다. 천연가스는 팔방미인 에너지로 불린다. 경제성과 안전성에 환경친화성까지 갖췄기 때문이다. 주성분인 메탄은 에너지 효율성이 80%로 높고 이산화탄소 등 공해물질이 적어 친환경 청정에너지로 분류된다. 공기보다 가벼워 설사 누출돼도 공기 중으로 날아가 사고위험이 적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팔방미인 에너지를 안정적ㆍ지속적으로 공급=천연가스는 수송과 보관이 어려워 개발이 늦어졌다. 19세기에 가스를 액체로 압축하는 기술이 개발되면서 폭발적으로 사용량이 늘었다. 가스공사는 미래에도 천연가스를 안정적으로 쓸 수 있도록 가스 도입선을 넓히고 직접 해외자원을 인수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천연가스를 전량 수입해야 하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는 가스자원 확보가 미래의 경쟁력이 될 수 있다. 가스공사는 2007년 12월 'KOGAS 비전 2017'을 수립하고 2%였던 천연가스 자주개발률을 2017년 25%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중동ㆍ동남아ㆍ호주ㆍ러시아ㆍ동티모르ㆍCIS 지역 등지에서 진행하고 있는 가스개발ㆍ액화사업ㆍ가스도입 사업에도 참여해 탐사광구(5개)와 개발광구(2개), 생산광구(3개)를 인수했다. ◇미수금 회수로 성장동력 확보, 가스 배관망 확충 필요=가스공사는 안정적인 가스공급을 위해 배관망을 확충하고 해외 자원개발에 나서야 하지만 미수금에 발목이 잡혀 있다. 가스요금은 도매요금에 소매공급 비용이 더해져 결정된다. 도매요금은 천연가스 도입가격과 수송비용에 관세ㆍ개별소비세ㆍ수입부과금 등을 덧붙여 매겨진다. 시세가 바뀌면 판매가격도 바뀌는 연동제를 적용하고 있다. 다만 정부는 도입가격 상승으로 소비자가격이 오르고 물가상승이 우려될 경우 가격연동제를 유보할 수 있도록 했다. 이 규정에 따라 정부는 2008년 3월부터 연료비연동제를 미루고 있다. 이로 인해 가스는 사오는 가격보다 파는 가격이 더 저렴한 기형적인 구조가 됐다. 1986년 가스를 처음 공급할 때 가격은 ㎥당 167원, 현재는 597원으로 2.6배가량 올랐지만 같은 기간 원유는 17달러에서 80달러로 3.7배나 올라갔다. 물가 걱정에 가스가격을 많이 올리지 못한 탓이다. 소비자들은 원가보다 싼 값에 가스를 쓰기 때문에 일면 이득을 보는 듯하다. 그러나 이에 따른 국가적 손실은 분명히 적지 않다. 가스가 싸다고 많이 쓰는 비효율적 에너지 소비가 심화될 수 있고 가스공사의 안정적인 공급과 자원확보 일정에 차질을 빚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기련 아주대 에너지학과 교수는 "자원확보 차원을 넘어 글로벌 녹색경쟁 대비 차원에서도 국내 가스산업의 해외투자 능력 제고가 시급하다"며 "당장은 5조원 규모로 누적된 도입원가 미보상분 해소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