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기계硏, 공해물질 대량 저감기술 개발

화력발전, 폐기물 소각 등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해물질인 질소산화물(NOx)을 대폭 줄이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기계연구원은 환경기계시스템연구실 심성훈 박사팀이 고온 배기가스 재순환 기술을 통해 연소공정에 주입되는 공기의 산소 농도를 떨어뜨려 NOx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기존에도 관련 시스템이 개발돼 있었지만 배기가스를 냉각해 재순환시키는 방식이어서 NOx 저감량이 많지 않았다. 또 고가의 촉매를 사용해 운용비 부담도 컸다. 화력발전소 1기에서 사용하는 촉매의 가격만 연간 약 40억원에 달할 정도다.

관련기사



반면 연구팀은 연소실 출구부의 고온 연소가스를 재순환하는 기술을 적용, 안정적 연소와 NOx 저감율 향상을 모두 이뤄냈다. 특히 연소과정에서부터 NOx 발생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후처리 비용의 획기적 절감도 가능하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심 박사는 “이 기술은 고체, 액체 등 연료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만큼 산업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본다”며 “NOx 발생이 많은 석탄 화력발전소나 폐기물 소각로 등의 경우 후처리 공정에서만 기존 대비 50% 이상의 비용절감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연구팀은 2곳의 중소기업에 기술을 이전하고 폐기물 소각로 등을 대상으로 상용화를 진행하는 한편 장비의 크기 축소 등 효율성 고도화를 위한 후속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대덕=구본혁 기자 nbgkoo@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