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기상자료 이용 수수료 대폭 내려

年 최고 2,400억서 200만원선… "관련 연구 활성화"

연간 최대 수천억원에 달했던 대용량 기상자료 이용 수수료가 대폭 낮아져 관련 분야의 연구가 활성화할 전망이다. 기상청은 지상관측자료, 고층관측자료, 위성·레이더 자료, 수치모델 자료 등 대용량 기상자료를 학계 등에서 큰 부담없이 활용할 수 있도록 이용 수수료를 크게 낮췄다고 30일 밝혔다. 1년간 기상청으로부터 모든 데이터를 받을 때 부담해야 할 수수료는 2,400억원에서 200만원 내외로 현실화된다. 기상 자료 이용 수수료는 KB(킬로바이트)당 200원이었으나 최근 수년간 슈퍼컴퓨터가 만드는 그래픽자료 등 대용량 데이터가 급증하면서 실제 이용이 거의 불가능해졌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고작 100MB(메가바이트)의 자료를 받는 데도 2,000만원의 수수료를 내야하고 기상청이 생산하는 1.2TB(테라바이트) 내외의 데이터를 모두 받으려면 자그마치 연간 2,400억여원을 들여야 했기 때문이다. '수수료 폭탄'으로 연구자들이 기상자료 이용을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자 기상청은 지난 28일부터 대용량 데이터 이용 수수료 체계를 바꿔 1GB(기가바이트)당 약 30만원만 받기로 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국민의 세금으로 생산된 자료를 연구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수수료를 확 줄였다"고 설명했다. 사립대도 국ㆍ공립학교 등 국가기관이나 공공기관과 마찬가지로 기상자료 이용 수수료 면제 혜택을 받도록 했다. 최근까지 사립대는 정상 수수료의 50%를 내야 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경제, 산업, 학술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상자료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인건비를 기준으로 수수료를 현실화했다"며 "기후자료의 활용범위가 더욱 넓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