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국제유가 사상 첫 60弗 돌파] 정부도 분주

자동차 10부제 시행등 소비억제 대책마련 고심

국제유가가 배럴당 60달러마저 돌파하자 정부는 부분적 자동차 10부제 시행을 비롯, 단계적으로 ‘강제적 에너지소비억제책’을 실시할지 다각적인 검토를 벌이고 있다. 하지만 강제적 억제책은 사회ㆍ경제적 영향이 워낙 커 쉽사리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에너지 주무부처인 산업자원부 장관 등 정부 고위관료들은 각종 대책을 놓고 저울질하느라 머리를 싸매고 마라톤 회의를 하고 있지만 최종 결정은 아직까지 내려지지 않은 상황이다. 분위기는 일단 강제적 에너지절약대책은 ‘시기상조’라는 쪽이다. 따라서 자동차 10부제, 백화점ㆍ할인점 등 다중시설의 사용시간 제한 등 강제적 소비억제책이 30일 총리 주재로 열릴 유가대책회의에서 발표될 가능성은 낮은 편이다. 정부는 강제대책의 시행 여부를 결정하는 요소로 ‘유가’보다 ‘수급상황’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데 장기도입계약 등으로 현재로서는 국내 원유공급에 별 문제는 없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유가가 계속해서 오르면 부분적 차량 10부제 실시 등의 방침을 밝힐 수는 있다. 산자부의 한 관계자는 “유가와 수급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강제대책이) 필요하면 시행하겠지만 30일 회의에서 곧바로 나올 가능성은 낮다”고 전했다. 아울러 지난해 8원에서 올초 리터당 14원으로 환원된 수입부과금을 다시 내리거나 역시 지난해 1%로 내린 원유관세를 일시적으로 폐지하는 등의 가격대책은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