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코오롱 노조, 회사살리기에 협력해야

코오롱 노조가 사측의 구조조정계획에 대한 파업 찬반투표에 돌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화학섬유산업의 불황 여파로 2003년에 727억원의 순손실을 낸데 이어 지난해 역시 3분기까지 279억원의 적자 행진을 계속하고 있는 ㈜코오롱은 구조조정에 실패할 경우 유동성 위기로 회사 자체의 생사가 기로에 서게 될 처지이다. 사측은 지난해 임원을 대폭 감원하고 하나은행 지분 매각 등을 통한 유동성을 확보하는 등 비상경영에 돌입했으나 노조는 지난해 6월부터 무려 2개월이 넘게 파업을 강행해 특별손실만도 241억원에 이른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구조조정이라지만 일자리를 지키려는 노조의 절박한 사정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노조측도 연봉축소안을 놓고 회사측과 협상할 수 있다는 제안을 내놓는 등 나름대로 성의를 보인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코오롱의 비용구조를 볼 때 인건비절감 없이는 회사가 정상화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코오롱의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은 화섬업계 평균인 5.7%의 두 배에 가까운 10.2%에 이르고 있다. 근로자수가 많은 데다 지난 4년간 인건비가 60%나 올라 지난해 생산직 근로자의 평균임금이 6,760만원이나 됐기 때문이다. 업황이 갑자기 좋아지지 않는 이상 흑자 반전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연봉을 어느 정도 줄인다고 해도 유휴인력은 경영에 부담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사측이 18일 노동부에 ‘경영상 이유에 의한 인원조정 계획안’을 낸 것도 이런 배경을 깔고 있다. 업종이 다르기는 하지만 삼성전자 등 우량기업의 경우 매출이 엄청나게 늘어나면서도 고용 숫자는 거의 늘어나지 않은 게 오늘날의 기업 현실이다. 무작정 구조조정을 막고 파업으로 손실을 늘려가는 경우 회사는 재기불능에 빠질 우려가 크다. 이렇게 되면 일부 근로자의 희생을 막으려다 결국 모든 근로자가 일자리를 잃게 되는 우를 범할 수 있다. 코오롱 노조는 또다시 파업으로 맞서기 보다는 회사를 살리기 위한 구조조정에 협력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일단 회사가 살아야 일자리도 있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