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모 노후, 정부·사회 공동 책임"

서울시민 절반 응답… 가족 전적 부양은 28%로 줄어


서울시민 절반은 정부와 사회가 부모의 노후를 함께 책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노인 사회복지를 확대하기 위해 세금을 더 낼 뜻이 있다는 시민 비중도 10명 중 3명꼴로 늘어났다.


서울시가 15일 발표한 ‘서울 보건ㆍ복지 변화와 시민의식 분석’에 따르면 부모의 노후 생계 책임에 대해 ‘가족과 정부ㆍ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져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2002년 22.3%에서 2012년 54%로 10년 새 배 이상 늘어났다. 반면 ‘노부모 부양은 전적으로 가족 책임’이라는 응답은 같은 기간 64.8%에서 28.7%로 줄었다.

관련기사



노인을 위한 사회복지를 확대하기 위해 세금을 더 낼 생각이 있냐는 질문에는 ‘그렇다’라는 대답이 2007년 26.1%에서 2011년 31.7%로 늘었다.

2011년 기준으로 19세 이상 가구주의 80.1%가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노후준비 방법은 ‘국민연금’이 56.2%로 가장 많았고 예ㆍ적금(15.9%), 사적연금(11.5%), 부동산 운용(7.2%) 등이 뒤를 이었다.

시는 정책에 시민의 보건ㆍ복지 변화상을 반영하기 위해 통계청ㆍ보건복지부ㆍ국민건강보험공단 등이 지난해 내놓은 통계를 종합해 이번 분석을 내놨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