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저축은행의 28%인 32곳이 부도위험에 처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이 가운데 부도확률이 90%를 넘어 사실상 부도가 예정된 곳만 19곳에 달해 추가적인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김정부 한나라당 의원은 5일 국회 재정경제위원회의 재경부 국정감사에서 “지난 6월 말 기준 상호저축은행의 리스크 관리 시스템 부도위험모형 평가에 따르면 전체 상호저축은행 112곳 가운데 28.6%인 32곳의 부도위험이 5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 가운데 부도위험이 100%인 곳이 8곳, 90~100% 11곳, 60~90% 8곳, 50~60%가 5곳”이라며 “이들의 예탁고 잔액은 9조8,000억원에 달해 부도가 발생하면 파급효과는 걷잡을 수 없이 커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저축은행을 관리감독할 책임이 있는 재경부가 리스크 관리 시스템 등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저축은행은 주된 고객층이 저소득층ㆍ중소기업 등이고 자산 역시 이들에 대한 대출로 구성돼 있어 경기에 매우 민감하다”며 “상호저축은행의 자산건전성은 경기 침체가 지속될 경우 나아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현재 영업정지 중인 곳은 아림ㆍ한중ㆍ플러스ㆍ인베스트 등 4곳에 불과하다”며 “추가로 경영개선명령 등을 통한 영업정지 등 사후조치가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