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안산~서울역 37분만에 신안산선 복선전철 2013년 착공

안산에서 서울역까지 37분

안산, 시흥에서 광명을 거쳐 여의도, 서울역으로 연결되는 신안산선이 2013년 착공한다. 국토해양부는 신안산선 복선전철 사업에 대한 기본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금년말부터 본격적으로 신안산선 사업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신안산선 건설사업은 2003년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2009년에 기본계획(안)을 마련한 후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최종 노선계획을 확정했다. 신안산선은 중앙, 시흥시청, 광명, 여의도, 서울역 등 총 17개 정거장을 건설하며, 노선연장은 전체 46.9㎞, 총사업비는 4조981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1단계 안산 중앙역~여의도 구간 및 시흥시청~광명역 구간은 2018년, 2단계 여의도~서울역 구간은 2022년에 완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USKR(유니버셜스튜디오코리아리조트)~원시 구간도 1단계 구간 개통시기에 맞춰 완공·운행할 예정이며, 장래 서해선 및 소사~원시 노선과 연결되면 문산, 안산, 평택, 서산, 군산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서해축이 구축될 계획이다. 신안산선이 개통되면 안산 중앙역에서 서울역까지 37분, 시흥시청에서 서울역까지는 35분으로 지금보다 이동시간이 크게 줄어 안산, 시흥, 광명지역 주민의 서울도심 접근성이 개선될 전망이다. 이용객은 2019년 1단계 개통초기에는 일일 38만여명, 2023년 2단계까지 완전 개통시 일일 44만여명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신안산선은 현재 공사중인 신분당선과 함께 수도권을 X자로 관통하는 광역전철망으로, KTX 광명역과 환승체계를 구축해 광명역세권 활성화 및 광명, 시흥, 안산지역의 교통난 해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 국토부는 신안산선 건설사업의 조기추진을 위해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를 통합 시행할 계획으로 약 2년간의 설계 및 인허가 기간을 감안할 때 2013년초에 본격적인 공사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