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민지갑 텅 비어… "앞날이 더 문제"

■ 3분기 실질 GNI 외환위기 이후 최악<br>구매력 약화→소비부진→성장률 하락 악순환 우려<br>경기하강 속도 예상보다 빨라 당분간 회복 힘들듯


국민들의 체감경기를 반영하는 실질 국민총소득(GNI)이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상태에 빠졌다는 것은 가뜩이나 경제 전체의 외형(GDPㆍ경제성장률)이 쪼그라드는 판국에 살림살이가 더욱 팍팍해졌다는 의미다. 국민들의 소득감소는 구매력 약화→소비부진→성장률 하락의 악순환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여기에 국내총생산(GDP) 성장률도 예상보다 나빠져 경기가 급격하게 얼어붙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갑이 텅 비었다=3ㆍ4분기 국민들의 실질구매력을 의미하는 실질 GNI 지표는 성적표로 따져보면 낙제점 수준이다. 우선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3.5%를 기록했다. 1년 전에 비해 소득이 감소한 것은 외환위기 당시인 지난 1998년 4ㆍ4분기(-4.8%) 이후 처음이다. 전기 대비 증가율도 -3.7%로 1998년 1ㆍ4분기(-9.6%) 이후 최저치다. 지난 1ㆍ4분기 -1.2%였던 실질 GNI가 2ㆍ4분기 1.2%로 회복됐다가 3개월 만에 최악의 상황으로 추락한 것이다. 또 국민총소득에 국외에서 들어오고 나가는 경상이전(송금)을 더한 국민처분가능소득 역시 전기 대비 0.4% 감소했다. 이 역시 1998년 3ㆍ4분기(-1.0%) 이후 최악이다. 실질 GNI는 국민의 지갑 사정을 보여주는 지표로 이 수치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는 것은 경제가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실제 소득은 오히려 줄었다는 뜻이다. 실질 GNI 감소는 국제유가 상승으로 교역조건이 악화된 데 따른 영향이 크다. 정영택 한국은행 국민소득팀장은 “원유가격이 8~9월부터 낮아졌지만 도입계약의 시차 때문에 10월부터 국내에 반영돼 GNI가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예상보다 빠른 경기하강=이날 발표한 3ㆍ4분기 성장률은 한은이 10월 발표한 속보치보다 악화됐다. 민간소비는 전기 대비 0.1% 늘어나는 데 머물러 사실상 ‘제로 성장’에 그쳤다. 교통(-2.5%), 통신(-1.2%) 등이 감소했으며 교육(0.4%), 임료ㆍ수도광열(0.1%) 등도 저조했다. 투자도 거의 동결됐다. 설비ㆍ건설ㆍ무형고정자산 투자로 구성된 총고정자본형성은 전 분기보다 0.7% 늘어났다. 설비투자는 속보치(2.3%)보다 0.2%포인트 하락한 2.1%에 그쳤고 건설투자는 0%로 속보치(0.3%)보다 뒷걸음질쳤다. 수출도 -1.8%를 기록, 속보치보다 0.1%포인트 나빠졌다. 제조업에서는 음식료ㆍ담배(-0.6%), 가구ㆍ기타(-1.7%), 전기전자(-1.0%) 등이 감소세를 나타냈다. 서비스업에서는 통신(-0.1%), 부동산(-0.8%), 오락.ㆍ문화서비스(-0.7%) 등이 줄었다. 정 팀장은 “속보치 발표 이후 산업생산지수와 금융기관의 분기결산 등이 추가 반영되면서 수치가 더 안 좋아졌다”고 말했다. 내수와 수출이 시간이 갈수록 나빠지는 등 경기하강이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얘기다. ◇4ㆍ4분기 이후 더 나빠진다=문제는 4ㆍ4분기 이후가 더 우려된다는 점이다. 각종 지표상 내수와 수출이 동반해 내리막길을 질주하는 형국이어서 3% 성장은 물론 2% 성장도 위태로워 보인다. 수출은 지난달 전년 동기 대비 18.3% 감소했다. 2001년 12월 이후 7년 만에 최대 감소폭이다. 조선을 제외한 컴퓨터ㆍ가전ㆍ반도체ㆍ석유화학ㆍ자동차부품 등 거의 모든 품목이 전멸했다. 추락하는 내수 역시 날개를 잃어버린 느낌이다. 현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10월 동행지수가 전달보다 0.8%포인트 떨어져 9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역시 0.5%포인트 하락해 11개월째 하락세를 나타냈다. 동행지수와 선행지수가 9개월째 동반 하락한 것은 1981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정 팀장은 “금융위기 여파가 생각보다 빠르게 한국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면서 “고용악화ㆍ가계부채ㆍ수출감소 등으로 경제상황은 당분간 회복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달처럼 수출 감소폭이 크면 4ㆍ4분기에 3% 성장은 어려울 것”이라며 “현재로서는 연간 전망치인 4.4% 달성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