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첫직장 잡는데 11개월 걸린다

15~29세 청년층 실업률 6.2%… 전체 2.7%보다 높아15∼29세 청년층 가운데 학교를 졸업했거나 중퇴한 청년들이 첫 직장을 잡기까지는 평균 11개월이 걸렸으며, 첫 직장에서의 근무기간은 평균 23개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실업률은 지난 6월 중 6.2%로 전체 실업률 2.7%보다 높았다. 또 이들 가운데 절반은 학교에서 배운 전공과 기술이 현재 일하는 업무에 별 도움이 안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통계청이 6월 고용동향을 조사하면서 15∼29세 연령층을 대상으로 실시한 추가조사에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전체 청년층 경제활동인구는 456만1,000명으로 이중 경제활동참가율은 46.6%, 실업률은 6.1%(27만6,000명)로 각각 집계됐다. 연령층별 실업률을 보면 15∼19세가 10.4%로 가장 높고 20∼24세 6.8%, 25∼29세 5.0% 등이었다. 교육정도별로는 실업자 27만6,000명 중 고졸이 13만9,000명으로 50.4%를 차지했고 대졸 이상 11만1,000명(40.2%), 중졸 이하는 2만5,000명(9.1%)이었다. 또 졸업ㆍ중퇴 청년층 가운데 한번 이상 취업한 적이 있는 사람들이 첫 일자리를 구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11개월이며 남자는 15개월, 여자는 8개월로 여자가 빨랐다. 첫 직장 근속기간은 평균 23개월이었고 이직사유는 보수 및 근로시간이 43.2%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가사ㆍ육아ㆍ학업 등 개인ㆍ가족적 이유가 26.9%로 뒤를 이었다. 이들 가운데 54.8%는 학교에서 배운 전공과 기술이 현재 하는 일에 도움이 안된다고 생각해 학교교육의 개선점으로 지적됐다. 이들이 취업한 곳은 사업ㆍ개인ㆍ공공서비스업(34.8%)과 도소매ㆍ음식숙박업(28.1%) 등 서비스 업종이었다. 그러나 제조업 취업자수 비중이 20.7%로 15세 이상 전체인구 기준 취업자수 비중 18.7%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 이들의 직업별 분포도 사무직은 26.5%, 전문ㆍ기술ㆍ행정관리직 비중은 26.4% 등으로 15세 이상 전체인구 기준 사무직과 전문ㆍ기술ㆍ행정관리직의 11.9%, 18.6%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졸업ㆍ중퇴 취업자의 고용지위를 보면 상용근로자 비중이 45.9%, 임시직이 37.0% 등으로 전체인구와 비교해 상용직뿐만 아니라 임시직의 비중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연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