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차세대융합기술원, 전기용량 부족으로 연구 차질

개원 8개월밖에 안되… <br>설계부터 전력량 잘못 예측… 시설개선 5억원 더 들여야


차세대 성장 동력을 위해 문을 연지 8개월밖에 되지 않은 경기도 차세대융합기술원이 전기용량 부족으로 연구 활동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설계 당시부터 예상 전력량을 잘못 예측, 1년도 안돼 시설개선에 다시 돈을 들여야 하는 것과 관련해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정상적인 전기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설투자비 등에 모두 5억3,000만원의 예산이 추가로 투입돼야 한다는 것이다. 23일 경기도에 따르면 현재 서울대가 위탁관리하고 있는 융합기술원에는 융합생명공학, 차세대자동차, 지능로봇 등 연구소 9개와 관련 기업 등 29개 업체가 입주하고 있다. 이들 기업과 연구소들이 하루 필요 하는 전기용량은 1,930KVA 이지만 실제 공급되고 있는 전기량은 절반 수준인 1,010KVA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지난 3월 개원한 융합기술원은 전기용량 부족으로 과부화가 발생, 연구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입주 기관 중 하나인 해양연구소는 입주 당시 500KVA를 요구했으나 전력 부족으로 300KVA만 배정 받았으며, 한국건자재연구소도 500KVA를 요구했으나 절반인 250KVA만 공급 받고 있다. 또 약학정보센터는 500KVA가 필요하지만 절반에도 못 미치는 200KVA만사용하고 있으며, 한국전자인증센터도 190KVA를 요구해 120KVA만 공급 받고 있는 실정이다. 융합기술원은 수원 이의동 광교테크노밸리내 부지에 연면적 5만8,551㎡ 규모로 지난 3월 준공돼 현재 29개 업체가 국책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경기도의회 송영주(민노·비례) 도의원은 "융합기술원의 전력부족 사태는 설계당시 전력량에 대한 수요예측 조사를 잘못한 것" 이라며 “전력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5억3,000만원의 예산을 추가로 투입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연구 특성상 전력공급에 대한 공급계획이 철저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사태의 발생으로 인해 불필요한 예산을 낭비함은 물론 차세대 융합기술 연구개발에 대한 차질이 빚어졌다”며 빠른 개선을 요구했다.

관련기사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