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중동국가들로부터 대규모 담수화프로젝트를 잇달아 따내며 신바람을 날렸던 두산중공업.
이 회사는 참여정부 출범과 동시에 노사분규에 돌입, 장장 두달에 걸쳐 싸움을 펼쳤다. 치열했던 이 갈등은 하지만 노와 사 모두에게 마이너스의 결과만 남겼다.
두산중공업의 올 상반기 수주실적은 5,451억원.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30% 수준에도 못미치는 것이며 올 전체 목표인 4조원의 13.6%에 불과하다. 또 일감이 줄어드니 조합원들의 호주머니도 당연히 얇아질 수 밖에 없다.
이 회사 노조는 급기야 올해 상급단체인 민주노총이 주도하는 `하투(夏鬪)`에 간부들만 보내기는 등 사실상 불참하기로 했다.
◇노조, 강경일변도에서 벗어나라=“무조건 파업을 하고 보자는 식입니다. 파업 안하면 대화도 안되고 머리띠를 둘러매야 임금이 올라간다고 생각하는 모습입니다. 한마디로 답답합니다.” 경기도 안산 시화공단에서 중소기업을 경영하는 A사장의 지적이다.
박용성 대한상의 회장은 이 같은 파업문화에 대해 “떼를 쓰면 다 통하는 식의 문화는 노사관계는 물론 사회전반에 걸쳐 팽배해져 있다”고 비판했다.
이 같은 사회분위기가 올들어 잇따르는 노동계의 불법파업과 이익집단의 집단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올초 화물연대의 파업으로 국가물류망이 마비되고, 철강업체들은 물론 자동차ㆍ가전 등 수요산업이 생산중단 위기에 몰리자 정부는 서둘러 요구사항을 수용하며 사태를 마무리지었다.
`노동자의 권익을 위해서`라는 기치를 내건 이 같은 행동의 부담은 하지만 항상 부메랑처럼 다시 노동자에게 되돌아간다.
노사분규에 따른 생산차질은 지난 2000년 1조6,357억원에서 2001년에는 2조1,269억원으로 늘어났으며, 이 가운데 수출차질액은 2000년 6억3,600만달러에서 2001년에는 7억6,700만달러로 증가했다. 사회 전체가 상실당한 부창출 능력만큼 노동자들에게 돌아갈 파이는 줄어들기 마련이다.
◇사용자가 바뀌지 않으면 계속 충돌한다=우리나라 후진적 노사문화의 원죄를 노조에서 찾는 것은 무리다. 오히려 그동안 노조보다 우월한 위치에서 힘의 논리로 노조를 바라봤던 사용자들에게 더 큰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하는 견해도 있다.
특히 경영부실을 숨기고 회계부정을 저지르는 등 투명경영을 펼치지 못했던 기업의 경우 이 같은 책임을 벗어나기 어렵다.
손낙구 민주노총 교육선전실장은 “사용자들이 노조에 회사의 경영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이런 사업장의 노사분규가 심각하다”며 “최근 새로운 노사문화를 쌓아가는 사업장은 사용자들의 의식이 먼저 변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올해 임단협 협상이 진척을 보이지 않자 부분파업에 들어갔다가 다시 협상을 재개한 현대차 노조의 김강희 부위원장은 “회사측에서는 노조의 요구안을 무조건 무리한 것이라고만 하면 노조측은 집단행동말고는 대처할 방법이 없지 않느냐”며 “노조를 매도하기 전에 합리적인 선을 찾기 위해 회사가 파트너로 인정하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영주기자 yjcho@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