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개성공단 조속 정상화하고 폐쇄땐 정당한 보상해달라

입주기업 비대위 성명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신속한 공단 정상화와 더불어 폐쇄라는 최악의 경우 발생시 기업 희생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요구했다.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비상대책위원회는 30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123개 입주기업 대표와 현지 법인장, 임직원, 영업기업 대표 등이 모인 가운데 전체회의를 열고 ▦남북 실무회담의 신속한 재개 및 공단 정상화 ▦북측의 전제조건 없는 재발 방지 보장 ▦개성공단 폐쇄시 입주기업 희생에 대한 정당한 보상 ▦설비점검 및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인원 방북 허락 등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한재권 비대위 대표공동위원장은 "최근 개성공단 사태를 보면 어떻게 우리 정부가 이럴 수 있나 정말로 비참한 기분이 든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또 앞으로 정부에 개성공단 정상화를 촉구하기 위한 활동계획으로 ▦온ㆍ오프라인 방식을 동원한 100만명 서명운동 ▦국회ㆍ대한문 앞 등에서 하루 3,000배 ▦전국 주요도시에서 1인 시위 ▦입주기업 대표 릴레이 단식투쟁 ▦평화대행진 재개 등을 밝혔다. 박용만 비대위 기획위원은 "기업 활동에는 대출금 관리가 매우 중요한데 입주기업들의 금융기관 연체가 시작됐고 이는 도산의 길로 접어 들었다는 의미"라며 "개성공단 재개를 위해 관련 기업은 물론 중기중앙회의 협조도 요청하겠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날 회의에서 입주기업 대표들은 남북이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해 신속하게 나서지 않는다며 강한 불만을 쏟아냈다. 유창근 비대위 대변인은 "기업이 수십년 된 고객의 신뢰를 잃은데다 자금경색에 빠졌고 심지어 자기 자산도 청산을 못하는 상황인데 일부에서는 마치 우리가 정부에 무조건 떼를 쓴다는 시각으로 바라본다"며 "입주기업들은 피해자면서 피해에 대해 말도 못하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이희건 나인제이아이티 대표는 "최근 북측의 제안 내용을 보면 우리 애로사항을 거의 다 반영했다"며 "우리 정부는 좀 더 유연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기존의 성명 내용을 두고 "북측의 재발 방지 입장을 어떻게 확신하고 작성했느냐, 내용이 정치적이다"는 정기섭 비대위 기획분과위원장의 지적이 제기되며 한 차례 소란을 빚기도 했다. 이에 따라 한 차례 정회를 거쳐 성명서가 수정ㆍ재작성돼 발표됐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