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국 대표이미지 '기술력'

러시아 등 25개국 대상 조사

휴대폰이나 자동차 등의 세계 시장 선전에 영향을 받아서인지 외국인에게 한국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이미지는 기술력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미국ㆍ일본 등 전통적인 우방국가보다는 러시아ㆍ캐나다 등 국가에서 한국인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국가브랜드위원회와 지식경제부는 13일 KOTRA가 산업정책연구원에 의뢰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미국ㆍ독일ㆍ베트남 등 25개국, 4,214명을 대상으로 벌인 국가브랜드 이미지 조사에서 '한국 하면 기술력이 연상된다'는 응답이 전체의 12.0%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다음으로는 한국 음식이 10.7%의 답변을 얻어 2위를 차지했고 이어 드라마(10.3%), 한국 사람(9.4%), 경제성장(6.2%), 한국전쟁(5.4%), 북핵문제(4.1%)가 뒤를 이었다. 한국에 대한 각 국민의 선호도는 러시아, 캐나다, 사우디아라비아, 멕시코, 브라질ㆍ필리핀, 이탈리아, 인도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14위로 중위권이었고 일본(17위), 프랑스(19위), 독일(22위), 홍콩(23위), 인도네시아(24위), 대만(25위)에서는 한국에 대한 선호도가 그리 높지 않게 나왔다. 업종별로는 휴대폰과 자동차 등 9개 한국 산업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휴대폰이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고 이어 가전, 영화.드라마, 가공식품, 의류디자인 등이 뒤를 이었다. 이와 함께 '가격이 100달러인 한국 제품 및 서비스와 비교해 동일한 자국 제품 및 서비스의 가격은 얼마일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통해 일본과 독일ㆍ미국 등에서는 한국 제품의 가격이 30% 이상 저평가된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외국인들이 한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주 매체는 인터넷이라는 응답이 18.7%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TV 뉴스(14.3%)와 TV 드라마(11.5%) 순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