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올 평균 임금인상률 5%… 작년보다 0.4%P 올라

올 임금협상을 끝낸 기업들의 평균 임금인상률이 5%로 조사됐다. 고용노동부는 100인이상 사업장 8,458곳중 4월까지 임금교섭을 타결한 843곳의 협약임금 인상률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4%포인트 오른 5%로 조사됐다고 23일 밝혔다. 협약임금 인상률은 100인 이상 기업 노사가 임금단체협약을 통해 사전에 합의한 임금인상률로 정액급여와 고정상여금이 대상이며 실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명목임금 가운데 승진에 따른 인상분, 초과급여, 특별상여금 등은 제외된다. 임금교섭 타결률은 10%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0.9%포인트 낮다. 부문별로는 민간부문의 임금인상률과 타결률이 공공부문보다 높았다. 민간부문의 임금인상률과 타결률은 각각 5.1%와 10.2%였으며 공공부문은 2.6%와 4.6%였다. 지난해 같은 기간 민간부문의 임금인상률과 타결률은 4.8%, 11.1%였으며 공공부문은 0.1%와 6.9%를 기록한 바 있다. 업종별 협약임금 인상률은 광업(23%), 출판ㆍ영상ㆍ방송통신 및 정보 서비스업(6%), 제조업(5.9%), 도매 및 소매업(5.2%) 등이 평균보다 높았다. 규모별로는 5,000명 이상 사업장이 5.7%로 가장 높았으며 300~500명 5.2%, 300명 미만 5%, 500~1,000명 4.5%, 1,000~5,000명 4.3% 순이었다. 고용부의 한 관계자는“물가에 부담을 주지 않는 합리적 수준에서 임금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며“임금인상자제에 대한 보전을 위해서는 퇴직연금, 우리사주 및 사내근로복지기금 등 생산적 근로복지제도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