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기업 54% "납품단가 적정치 않아"

무리한 가격경쟁이 원인


박근혜정부의 강력한 경제민주화 의지와 대중기 동반성장 확산에도 중소기업의 해묵은 숙원인 납품단가 현실화는 여전히 요원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8일 대기업과 거래관계가 있는 중소제조업체 200개를 대상으로 4월1~2일 실시한‘중소제조업의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절반 이상(54.0%)이 납품단가가 ‘적정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2011년을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재료비, 노무비, 경비는 4.3%~6.7% 증가한 반면 납품단가 인상은 0.2%~0.6%에 불과하다는 것.

관련기사



중소제조업체들은 납품단가가 적정하지 않은 이유로 ‘무리한 가격경쟁으로 납품가격 인하 불가피’(32.4%)를 가장 많이 꼽았다. ‘원자재 상승요인 있었으나 가격인상 동결’(28.7%), ‘부분반영 됐으나 가격인상 충분치 않음’(18.5%) 등이 뒤를 이었다.

‘노무비, 전기료 등 특정항목 미반영’(8.3%), ‘비용 인상분(환차손 등) 전가’(7.4%), ‘정당한 이유없이 일률적 감액’(2.8%) 등의 의견도 제기됐다. 중소업체들이 생각하는 적정단가 인상률은 ‘10~15% 미만’(35.2%)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20%이상’(27.8%),‘ 5~9%미만’(17.6%), ‘15~20%미만’(16.7%) 등으로 조사됐다.

또 중소기업들이 대기업과 거래시 요구사항으로는 ‘수요 예측이 가능한 일정기간 일감보장’이 42.5%로 가장 많았다. 이어 ‘납품단가 제값받기’(30.5%), ‘부당한 납품단가 인하 자제’(12.0%) 순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