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계속 불어나는 가계대출… 새해 금융권 뇌관으로

1년새 3배… 작년 11월 6조 늘어

지난해 11월 가계대출이 6조원 증가하는 등 가계대출 급증세가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전년의 3배 수준에 육박할 것으로 보여 새해 금융권의 최대 리스크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현재 가계대출은 총 512조7,000억원으로 전달에 비해 6조원이 늘었다.

가계대출은 지난해 10월 6조4,000억원이 늘어 연 최고치를 찍은 데 이어 11월에도 높은 증가세를 유지했다.

이는 아파트 거래량이 지난 8월 정부 부동산 규제 완화 이후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가계대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은 보통 주택 거래에 두 달가량 후행하기 때문에 지난해 12월까지도 높은 대출 증가세가 예상된다.

관련기사



지난해 초부터 11월까지 가계대출 증가분은 총 33조7,000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증가분(11조5,000억원)의 3배 수준에 육박한다. 최근 5년 내 가장 많은 규모다.

이밖에 대기업 대출은 11월 들어 7,000억원이 감소한 반면 중소기업 대출은 4조9,000억원이 늘었다.

이는 은행들이 정부의 기술금융 확대 방침 등의 영향으로 중기 대출을 늘리는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연체율은 아직 안정적이다. 11월 은행 대출 연체율은 0.89%로 전 달에 비해 0.01%포인트 하락했다. 가계대출 연체율도 전 달 대비 0.03%포인트 하락한 0.62%를 기록했다.

다만 올해 금리 인상이 시작되면 한꺼번에 늘어난 가계대출이나 중기대출의 연체율이 갑자기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

최성일 금감원 은행감독국장은 "일부 취약업종 대출 및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 악화 가능성에 대비해 리스크 요인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