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저축銀 인터넷 화상대출 부작용

시스템부족, 중복대출로 다중채무자 양산인터넷 화상대출에 저축은행들이 너도 나도 뛰어들면서 과당 경쟁으로 인한 부작용이 속속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저축은행 모집인 등록제 실시 이후 한동안 잠잠했던 무자격 모집인들에 의한 불법수수료 징수사례도 화상대출 시스템 도입 후 다시 크게 늘어나고 있어 당국의 관리 감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5월 푸른상호저축은행이 업계최초로 화상대출 시스템을 도입한 이후 3개월 만에 화상대출을 시행하고 있는 저축은행은 전국에 15개 은행으로 급속하게 늘어났다. 이달 들어서만 골드저축은행이 나라ㆍ새론저축은행과 함께 11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데 이어 현대스위스ㆍ진흥ㆍ한국ㆍ경기저축은행도 이번주부터 화상대출을 새로 취급하고 있다. 그러나 저축은행들의 이 같은 화상대출 서비스는 짧은 준비기간으로 인해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지 않고 추진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금융사고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또 대부분의 저축은행들이 컨소시엄의 형태로 중복대출을 해주고 있어 다중채무자를 양산하고 있다는 지적도 일고있다. 대출중개업체의 한 관계자는 "일부 저축은행 상품의 경우 화상채팅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며 "제대로 개인신용 확인도 할 수 없는 시스템으로 중복대출을 해주고 있어 후유증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화상대출이 대출자와 심사원과의 일대일 면담이라는 점을 악용해 무자격 모집인들이 다시 활개를 치고 있다. 또 이들은 고객을 화상대출 부스로 데리고 온 뒤 대출금의 5~10%에 이르는 수수료를 더 징수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 대출모집인은 "어차피 대출심사를 화상으로 직접 본사와 하다보니 누가 고객을 모집해왔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며 "무자격 모집인들이 이를 악용하고 있어 서민들의 피해만 늘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조의준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