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해상·해저 모두 관측… "떠다니는 기상청"

30일 취항 국내 첫 기상관측선 '기상1호' 타보니…<br>WAVEX등 첨단 장비 탑재<br>위험기상 육상 도달전 관측 가능

국내 최초의 기상관측선인 '기상1호' 선원들이 첨단장비를 조작하며 운항하고 있다. 기상1호는 육상과 해상, 대기 등을 종합적으로 관측해 예보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사진제공=기상청

국내 최초의 기상관측 선박으로 '떠다니는 기상청'이라 불리는 '기상 1호'가 30일 인천항에서 취항식을 하고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지난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133억원을 들여 건조한 498톤급(길이 64m)으로 국내 관측선 중 최고 속도(최대 시속 33㎞)를 자랑한다. 기상 1호는 서해 어느 지역이든지 10시간 이내에 이동해 집중호우∙폭설 등의 위험기상 등 24시간 이후의 날씨를 더 정확하게 예측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맡는다. 기상 1호는 정식 취항에 앞서 25일 목포시 서해어업지도사무소 전용부두에서 기자들에게 먼저 선을 보였다. 먼바다로 나아가는 도중에 기상 1호 후미에서 작은 센서를 장착한 하얀 풍선이 하늘로 발사됐다. 자동고층기상관측장비인 아삽(ASAP)이다. ASAP은 상공 20㎞까지 올라가면서 기온∙습도∙풍향∙풍속 등 대기층별 기상자료를 관측해 1분 간격으로 전송하는 장비로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기상 1호만 장착하고 있다. 미세먼지 관측장비(PM10)도 기상 1호만 갖추고 있는 것으로 대기먼지 농도를 5분 단위로 관측한다. 항해 도중 고경석 통신원이 해수수온염분측정기(CTD)를 바다 밑으로 내렸다. 도르래 쇠줄에 연결된 CTP가 바다 밑으로 내려가자 카메라 기자들이 연신 플래시를 터뜨린다. 고 통신원은 "CTD는 수심 3,000m까지 내려가서 수온과 염분∙용존산소∙압력 등을 측정해 실시간으로 관련 자료를 전송한다"며 "태풍∙쓰나미 등 대형 해양재해를 사전에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고 설명했다. 기상 1호에는 이 밖에 해수면에서 발생하는 파고와 해류자료를 산출하는 레이더식 파랑계(WAVEX), 파랑에 의한 해면변동을 조사하는 웨이브라이더 부이, 5분마다 20㎞까지 층별 기온과 습도∙풍속 등을 측정하는 선박 자동기상관측장비(AWS) 등이 탑재돼 있다. 기상 1호를 총괄하는 류동균(44) 선장은 "이 같은 첨단장비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상 1호는 고층과 해상∙해양∙환경 관측이 모두 가능한 종합적인 기상선박이라고 불린다"며 "지금까지는 육상과 연안에 설치된 장비로만 날씨를 예측하는 포인트 수치모델을 활용했지만 기상 1호 취항으로 예측방법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기상 1호가 '떠다니는 기상청'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서장원 기상청 해양기상과장은 "기상 1호는 우리나라에 큰 영향을 주는 집중호우∙폭설 등 위험기상 감시를 위해 서해상에 우선 배치돼 운영된다"며 "기상 1호 취항으로 우리나라도 위험기상 현상이 육상에 도달하기 이전에 먼바다에서 먼저 관측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게 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