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해외순방 마무리 盧대통령 中企챙기기 나선다

16일 대중기 상생회의, 17일 기업인대회 참석등<br>靑, 행사개요 이례적 공개

해외순방 마무리 盧대통령 中企챙기기 나선다 16일 대중기 상생회의, 17일 기업인대회 참석등靑, 행사개요 이례적 공개 해외순방을 마친 노무현 대통령이 이번주 들어 '중소기업 챙기기'에 본격 나선다. 공교롭게도 지난 14일은 국회의 대통령 탄핵 이후 국정에 복귀한 지 꼭 1년이 되는 날이다. 지금 한반도는 북핵 문제라는 난제가 얽혀 있지만 노 대통령의 이번주 공식 일정은 뜻밖에도 경제이슈를 다루는 문제로 가득 채워졌다. 15일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은 16일 노 대통령 주재로 대ㆍ중소기업 상생협력 대책회의를 갖는 데 이어 17일에는 노 대통령이 전국중소기업인대회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이날 16일과 17일 행사개요를 이례적으로 보도참고자료 형태로 내놓았다. 대통령 행사는 경호문제 등을 이유로 관련 자료를 미리 내놓지 않는 게 청와대의 관행이었다. 어쨌든 이들 자리를 통해 한국경제를 이끌어가는 동력으로 대기업도 중요하지만 중소기업의 역할이 너무 소외돼서는 안된다는 청와대의 생각이 어떤 형태로든 드러날 것으로 전망돼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와 관련, 김 대변인은 "참여정부가 중점을 두고 있는 경제 양극화를 극복하고 (경제 전반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이 있어야 대기업도 발전할 수 있다는 취지로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그 동안 많은 중소기업 대책이 있었으나 이번 대책회의는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실질적으로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청와대가 한꺼번에 2개의 중소기업 관련 행사를 '이례적으로' 홍보하고 있는 데는 대기업의 양보를 최대한 이끌어내야 '대ㆍ중소기업 상생'이 가능한 게 아니냐는 판단이 숨어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청와대는 앞서 경제살리기 분위기를 확산시킨다는 명분을 내세워 이학수 삼성그룹 부회장을 비롯한 대기업 위주의 경제인 31명의 사면을 단행하기로 했다. 재계로서는 이번 행사가 '부패방지를 위한 사회협약 체결'과 '경제인 사면'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흐름 속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대기업이 중소기업 문제에 대해 뭔가 가시적인 조치를 제시하는 '답례'의 수순을 밟아야 할 것이라는 부담을 갖고 있는 게 사실이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대기업이 있어야 중소기업이 있는지, 아니면 그 반대논리가 맞는지는 학계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고 전제한 뒤 "이번 회의에서는 중소기업 우선론이 강조될 것이 분명해 부담이 없지는 않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식의 토론이 이뤄질 것이지만 바로 그 때문에 4대그룹 총수를 비롯한 대기업 참석자들의 언급 수위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6일 행사에서 대ㆍ중소기업 상생 사례로 발표되는 포스코의 '베너피트 셰어링(Benefit Sharing)' 등 이익공유 모델이 자칫 시장논리에 반할 수도 있다는 논란이 불거지면 서로가 불편해지는 후유증을 낳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권구찬기자 chans@sed.co.kr 문성진기자 hnsj@sed.co.kr 입력시간 : 2005-05-15 17:1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