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9월 2일] 공심(公心)경영

‘신이 내려줬다는 직장’ 공기업이 지금 큰 시련을 맞고 있다. ‘선진화’의 이름으로 추진되는 정부의 공기업 개혁 강도가 예사롭지 않다. 민영화, 통폐합, 기능 조정의 이해당사자들인 공기업 임직원은 말 그대로 좌불안석이다. 일이 손에 잡히지 않을 것이다. 가끔 산발적으로 반대와 저항의 목소리도 들리지만 비효율의 대명사로 통하는 공기업의 개혁을 바라는 추상같은 여론 앞에서 힘을 얻기는 어렵다. 오늘날 공기업이 처한 현실은 자초한 측면이 다분하다. 경영 혁신과 체질 개선을 외면한 채 법과 제도의 그늘에 안주해온 오랜 습성에 기인한 결과인 것이다. 습성만큼 고치기 힘든 게 없다. 좋든 그르든 일단 익숙해지면 일정한 경로를 따라 행동하게 마련이다. 문제는 해법이다. 경로 의존적 타성은 치유 자체가 어렵다고 할 정도로 난제다. 그동안 공기업들의 개혁 노력이 없었던 것도 아니다. 오히려 공기업마다 원대한 비전을 선포하고 수많은 혁신 전략들을 경쟁적으로 추진해왔다. 정부는 한 해도 거르지 않고 300여개에 이르는 공기업에 대한 경영혁신평가를 실시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그런 노력들이 오히려 내성만 키워 그나마 안한 것만도 못한 형국이 된 측면도 없지 않다. 경로 의존적 타성의 치유는 비전이나 경영전략 정도로는 부족하다. 그보다는 공기업 구성원의 업무에 임하는 마음가짐과 자세를 통해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이때 요구되는 게 이른바 공심(公心) 의식이다. 공심(Public Mind)은 개인적인 사심(私心)과는 양립될 수 없다. 사심을 버리고 비울 때 공심이 자리잡게 된다. 필자는 공기업 최고경영자(CEO)로서의 자신은 물론 2,000여명 신용보증기금 직원에게 공심 경영을 늘 당부한다. 공기업에 요구되는 공심 영역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선진화의 과제이며 또 다른 하나는 신상필벌의 원칙이다. 선진화의 요체는 효율성에 있다. 또한 효율의 제고를 위해서는 성과에 대한 공정한 평가와 보상이 뒷받침돼야 한다. 동전의 앞ㆍ뒷면처럼 양자는 불가분의 관계가 유지돼야 한다. 사심을 경계하고 공심에 따라 일하는 것은 말처럼 쉽지 않다. 사심이 발동하면 공심은 사라지고 만다. 그 순간 비효율의 독버섯이 소리 없이 고개를 든다. 이어 방만 경로를 따라 부실의 늪에 빠져들고 만다. 즉 해당 공기업의 운명은 물론 구성원의 위상마저 추락하게 되는 출발점이다. 사심을 비워야 공심이 생겨나고 공심이 발동돼야 비로소 선진화에 이를 수 있을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