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내銀 파생금융상품 활용도 낮아

국내은행의 파생금융상품 거래가 늘고 있긴 하지만 세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미미하고 파생상품 거래를 통한 위험회피(risk hedge)와 신상품개발도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파생금융거래의 국제비교와 위험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말 국내 은행의 파생금융거래 잔액은 3,182억달러로 국제결제은행(BIS)에 가입한 국가들의 파생금융상품 거래잔액 169조6,780억달러(2002년6월말 기준)의 0.19%에 불과한 실정이다. 또 미국 상업은행(67조1,130억달러)의 0.4%, 일본(23조7,630억달러)의 1.3%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작년 말 기준 국내은행의 총자산 대비 파생상품거래 배율은 0.38배로 미국 상업은행의 11.1배에 비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자본 대비 파생상품거래 배율도 7.1배(국내 파생상품거래 상위 5개 은행 기준)로 미국 상업은행(304.4배)에 비해 매우 낮았고 상위 5개 은행의 거래집중도 역시 미국의 절반을 밑돌았다. 보고서는 국내 은행의 파생금융상품거래가 급증하고 있지만 총자산이나 자기자본 대비 거래잔액비중이 외국보다 낮아 위험노출수준이 높지 않아 금융시스템 안정에 미치는 충격이 적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그러나 ▲현물거래의 위험회피를 위한 파생금융거래를 적극 활용하지않고 있고 ▲파생상품을 활용한 금융신상품 개발에 소극적인 점 등 국내은행의 거래현황에 문제도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작년 4ㆍ4분기 국내 은행의 파생금융 거래규모는 479조4,000억원으로 3ㆍ4분기(317조4,000억원)보다 51% 증가했다. <성화용기자 shy@sed.co.kr>

관련기사



성화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