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합병 불허' 브릿지증권 앞날은

“정말 청산절차 밟나” 관심 집중 <BR> 브릿지證 “인수·합병 안될땐 청산할것”<BR>노조·소액주주 “법적대응” 반발 거셀듯<BR>외국계 자본 차별논란 등 불거질수도


금융감독당국이 리딩투자증권과 브릿지증권의 합병을 불허하기로 하면서 브릿지증권이 청산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브릿지증권이 그동안 인수합병이 승인되지 않을 경우 청산하겠다고 밝혀왔기 때문이다. 대주주인 BIH 측이 회사의 존속보다는 매각이나 청산을 통한 투자자본 회수에 중점을 둬왔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 같은 결정이 뒤집혀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브릿지증권이 청산절차를 밟게 되면 자사주를 제외한 11.84%의 지분을 갖고 있는 소액주주들의 피해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청산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는 예상도 제기된다. 일단 노조의 반발이 거세다. 브릿지증권 노조는 “위스콘신 연기금을 비롯한 대주주들에 대한 설득과 법적 대응 등을 시도하고 있다”며 최악의 경우 주총을 물리적으로 막을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짐 멜론 BIH 회장이 기소중지 상태라는 점과 소액주주들이 브릿지증권 이사 4명을 상대로 직무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을 낸 것 등도 제약요인이라는 게 증권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BIH는 최대한 빠른 투자자금 회수방법을 찾을 것”이라며 “청산보다 더 빠른 방법이 있다면 그것을 찾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또 이번 결정으로 외국계 자본에 대한 차별 논란도 제기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불식시키기 위해 윤용로 감독정책2국장은 “이번 합병심사는 외국투자자의 투자금 회수문제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고 못박았지만 외국계 펀드 세무조사 등 최근 기류와 연관돼 오해를 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BIH는 지난 6일 영국 런던에서 열린 한국 경제설명회에서 한덕수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에게 “외국인 투자가에 비판적인 일부 언론과 노조가 브릿지증권 매각을 방해하고 있고 정부는 이를 방관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금감위는 이와 관련, “이번 합병 불허에 대한 영문 보도자료와 설명서를 7,000여 기관에 발송했다”면서 “BIH 측에도 이미 관련 사항을 충분히 설명했으며 이후에도 결정사항에 대해 추가로 설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