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흥진의 할리우드 통신] 조지 클루니 솔직·다정한 인터뷰

대중 사랑받는 이유 새삼 느껴


사람들이 왜 그렇게 조지 클루니(46)를 좋아하는지를 새삼 느끼게 한 것은 지난달 14일 그를 두 번째로 만나고 나서였다. 그 날 기자가 속한 할리우드 외신기자협회(HFPA)는 그 전주 개봉된 아메리칸 풋볼 로맨틱 코미디 ‘레더헤드(Leatherheads)’를 감독하고 주연한 클루니를 인터뷰했다. 인터뷰 뒤 기념촬영 때였다. 기자는 클루니에게 다가가 악수를 청하며 “다시 만나 반갑다”고 했더니 그는 내 어깨에 손을 얹으면서 “하우 아 유 홀딩 업”(잘 지내고 있느냐)이라고 물었다. 그동안 많은 스타들을 인터뷰했지만 마치 오랜 지기나 만난 듯한 다정한 태도로 말을 건넨 사람은 거의 없었다. ‘이래서 사람들이 클루니를 좋아하는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를 처음 만난 것은 지난해 9월 토론토 국제영화제에 출품된 ‘마이클 클레이턴’ 관련 인터뷰 때였는데 도무지 슈퍼스타 티를 내지 않고, 처음 봤는데도 오래된 친구 같은 느낌을 주었다. 토론토에서의 인터뷰 때 “왜 결혼해 아이를 안 낳느냐”는 물음에 그는 “당신들이 다 내 자식들인데 내가 왜 아이가 더 이상 필요하느냐” 능청도 떨었다. 클루니는 솔직한 사람이다. 지난달 인터뷰 때도 그는 유명세에 관한 질문에 “난 그게 재미있고 또 그것을 즐긴다”고 답했다. 그리고 나서 “내 유명은 순전히 운 때문”이라고 말할 줄 아는 겸손함도 지녔다. 그는 아직까지는 결혼도 자녀도 원치 않는, 철저히 자기 인생을 즐기는 사람이지만 8명 아이들의 대부다. 클루니는 지난 3월3일자 타임지 표지인물로 선정됐는데 필자인 조엘 스타인은 그를 ‘마지막 영화 스타’라는 제하에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을 했다. 이 시대의 ‘캐리 그랜트’라고도 불리는 클루니는 영화 제작자와 감독, 각본가와 배우 뿐 아니라 세계를 돌며 인권문제와 종족분쟁 그리고 기아와 사회적 불평등 문제 등을 해결하러 다니느라 매우 바쁘다. 최근에는 중국의 인권 개선에 관심을 두고 있다. 또 그는 이번 미 대통령선거 예선에서 민주당 후보로 나선 버락 오바마의 열렬한 지원자다. 클루니는 지난번 인터뷰 때 “나는 오바마가 차기 대통령이 될 것을 거의 확신한다”면서 “내가 그를 위해 유세를 안 하는 것은 할리우드가 나서는 것을 싫어하는 미 중서부 지역 시민들을 생각해서”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